“5달러 메뉴로 소비자 잡는다”…미국 패스트푸드, 매출 감소에 가격 인하 경쟁
현지시각 20일, 미국(USA)에서는 맥도날드(McDonald's)와 피자헛(Pizza Hut)을 비롯한 주요 패스트푸드업체들이 5달러(약 7천 원) 메뉴 도입 및 세트메뉴 가격 인하에 착수하며 치열한 시장 경쟁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치는 최근 소비 둔화와 저소득층 이탈에 대응하는 한편,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매출 방어를 위한 업계 차원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유력 매체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최근 가맹점과의 논의 끝에 인기 세트메뉴 8종의 가격을 단품 대비 15%가량 내리기로 결정했다. 해당 매장들에는 맥도날드 본사가 직접 재정 지원을 제공하며, 인하된 가격 정책은 6월 중순부터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맥도날드 측은 또한 5달러대 아침 메뉴와 8달러 빅맥·맥너겟 세트 등 가성비 신제품을 추가로 선보일 계획이다. 최근 일부 매장에서 빅맥 세트 가격이 18달러까지 올랐던 전례를 감안하면,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를 적극적으로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크리스 켐프친스키 맥도날드 CEO는 실적 발표에서 “메뉴판 가격이 소비자 인식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다”며 “특히 저소득층 유입이 판매 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맥도날드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으나, 주요 고객층인 저소득 소비자 방문은 두 자릿수로 감소했다는 분석이 제시된다.
피자헛 역시 점심시간 고객 유입 확대를 노리며 최근 5달러 신제품 ‘크래프티드 플랫츠’ 피자를 선보였다. 에런 파월 피자헛 CEO는 CNN 인터뷰에서 “자사 피자의 3분의 2가 오후 4시 이후 판매된다”며, 점심 수요 창출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피자헛의 2분기 미국 내 매출은 5% 하락했으나, 도미노피자와 파파존스 등 경쟁업체의 신제품 효과는 매출 회복으로 이어진 상황이다. 리테일 분석사 플레이서.ai의 R.J. 하토비는 “5달러 피자 도입이 가성비 강화와 점심 고객 유입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패스트푸드업계의 가격 인하 및 저가 신제품 확대는 소비 위축과 소득 양극화,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는 경제 상황에서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진다. 주요 외신들은 업계의 ‘가성비 경쟁’이 점점 더 격화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향후 경기 침체 심화 여부에 따라 메뉴 가격 정책에도 추가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저소득층 유입 회복이 실적 반등의 관건이 될 것이라며, 패스트푸드업계의 전략적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패스트푸드업계의 가격 경쟁 강화가 미국 소비 트렌드 및 글로벌 외식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국제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