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 30개 우선 복구”…행정망 보완 시급, 국민서비스 정상화 관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주요 IT 서비스가 단계별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6일 화재 이후 차단된 674개 정부 전산 서비스 중 우체국 인터넷 예금, 모바일 신분증 등 30개 핵심 분야가 28일 오후까지 복구됐다고 밝혔다. 핵심 금융·신분 확인 서비스의 단계적 정상화 속에, 전산 안전망의 내구성과 긴급대응 프로토콜 재점검 필요성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이번 복구는 화재 피해를 직접 입지 않은 전산실(2~4층) 서버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국민 파급력이 큰 우체국 금융, 모바일 신분증, 환경부 배출권관리, 보건복지부 노인 돌봄 시스템, 관세청 홈페이지 등 주요 정보 시스템이 포함됐다. 특히 우체국의 인터넷 예금, 스마트 예금, 금융상품·보험 플랫폼은 대부분 온라인 거래 및 상품 가입, 보험 업무 기능이 재개됐다. 모바일 신분증의 경우, 이미 발급받은 이용자라면 신분증 종류와 무관하게 금융거래 증빙이 가능하나 신규 발급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현재 중점 복구의 논리는 서비스 중요도 등급과 사회·경제적 파급력을 기준으로 한다. 국민의 일상·경제 활동과 직결되는 서비스, 즉 금융·신분·복지 시스템이 우선 대상이다. 반면, 추석 연휴를 앞두고 물량이 폭증할 것으로 예측되는 우편·택배 분야는 시스템 복구 작업이 진행 중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9일 안에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점검에 집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국가 행정망의 복구는 데이터 일관성·보안·업무 연속성 확보가 관건”이라고 지적한다.
실제 복구 대상 674개 서비스 중 96개는 화재로 직접 영향을 받아 피해 규모와 복원 시간이 더 소요될 전망이다. 나머지 551개 가운데 인터넷망(국민 이용) 436개, 행정 내부망(공무원 전용) 211개로 분류, 자신이 직접 사용하는 서비스의 복구 여부에 대한 국민 문의가 이어진다. 정부는 이날 오전 내로 551개 서비스의 순차적 재가동과 정상화 여부 확인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공지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전국적 행정망과 공공데이터 전달 구조의 복원력, 재해 대비 다중 백업 및 DR(Disaster Recovery) 체계 재정비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도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투명한 상황 공유와 업무 연속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산업계는 전산 재해 복구 속도 못지않게, 원인 규명과 예방 대책, 그리고 행정망 전반의 신뢰도 강화가 중장기적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평가하고 있다. 기술과 절차는 물론, 국민 체감 신뢰 회복이 디지털 행정의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