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여론 동향, 매우 안좋다”…강선우·이진숙 후보자 논란에 대통령실·여권 고심
정치

“여론 동향, 매우 안좋다”…강선우·이진숙 후보자 논란에 대통령실·여권 고심

권혁준 기자
입력

야권과 여권 일각, 사회단체까지 ‘낙마 압박’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위험 수위로 치닫고 있다. 대통령실은 인사청문회 후 국민 여론을 종합 판단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여권 내부에서도 우려가 높아지는 등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16일 강선우·이진숙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민 여론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식 논평에서는 두 후보자에 대한 일단의 엄호 기조를 유지했으나, 진보당·여성단체·민주당보좌진협의회까지 퇴진을 촉구하는 등 범여권 내부에서조차 ‘비토’ 정서가 표면화되면서 당내 고심이 깊어지는 형국이다.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인사 문제는 대통령실도 국민 눈높이에서 예의주시하고 있어 청문회가 끝난 뒤 종합 판단할 것으로 본다”며 “두 후보자의 사과와 소명을 보고 국민께서 판단해주셨으면 한다”고 했다. 백 대변인은 “강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누차 사과했고, 이 후보자의 학력·경력 논란 역시 사실 이상의 과장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당 지도부 역시 “이진숙 후보자가 소신을 갖고 직접 해명했다”며, “청문회 결과를 보고 거취를 검토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 없이 “국민 여론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왔다.

 

그러나 강선우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및 위증 논란, 이진숙 후보자의 자녀 조기유학·논문 표절 의혹이 연이어 불거지면서, 지도부 일각에서도 국정 부담을 줄이려면 후보자를 정리(지명 철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진보당은 전날 공개적으로 “강선우 후보자 자진 사퇴”를 요구했고,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한국여성단체연합·한국여성단체협의회 등 여성단체들 역시 강 후보자에 대해 공통으로 부적합 입장을 냈다. 민주당보좌진협의회 전·현직 회장단도 입장문을 통해 “강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은 여성가족부 장관뿐 아니라 국회의원으로서의 자격마저 결여된 것”이라며 사퇴를 공식 촉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이진숙 후보자의 의혹을 문제 삼았고, 참여연대는 두 후보자 모두의 거취 표명을 요구했다.

 

여권 안팎에서는 국민 여론이 더욱 악화될 경우 새 정부 국정운영 동력 약화, 정국 주도권 상실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늘고 있다. 한 재선 의원은 “국민 정서를 자극하는 인사이슈여서 대통령실에서도 정무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청문회 과정에 따라 대통령의 결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청문회 정국 이후 논란이 자연스럽게 가라앉을 수 있다”는 기류도 남아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 당시 낙마 논란도 시간이 지나 대중적으로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있다.

 

대통령실 역시 두 후보자 임명 여부를 두고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유튜브 채널 ‘오마이TV’에서 “일부 후보자의 경우 여론 동향이 매우 좋지 못하다는 점을 대통령에게 그대로 보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 수석은 “여론 동향과 의혹 해명 가능성을 세심하게 보고 있으며, 청문회 상황은 서면보고로 모두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유정 대변인 역시 브리핑에서 “인사청문회를 지켜본 후 결론을 내리겠다는 입장에 변함없다”며, “판단 시점 역시 청문회 종료 후가 될지 현재로선 미정”이라고 답했다.

 

이날 국회와 여권은 두 후보자에 대한 찬반 논란 및 국민적 비판 여론 속에서 고심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국은 장관 후보자 임명 문제를 둘러싸고 격랑에 휩싸인 가운데, 대통령실은 여론 흐름과 사안의 추이를 면밀히 검토한 뒤 최종 결론을 내릴 예정이라는 입장이어서, 여야 정치권 향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