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8.3%·수입 7.4% 동반 급증”…중국, 미국 비중 축소 속 무역 다변화 박차
현지시각 13일, 중국(China) 정부가 발표한 9월 무역 통계에 따르면 수출이 8.3%, 수입이 7.4% 동반 증가하며 양 지표 모두 시장 전망치를 크게 뛰어넘었다. 이번 호조는 미국(USA) 중심의 교역구조에서 벗어나 아프리카, 아세안(ASEAN), 유럽연합(EU) 등으로 시장을 다변화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중국의 무역 전략 변화가 글로벌 공급망과 미중 무역 질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9월 수출액은 3,285억7천만 달러, 수입액은 2,381억2천만 달러로, 각각 지난 해 같은 달보다 8.3%와 7.4% 늘었다. 이는 로이터 등 주요 기관의 전망치와 8월 실적치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9월 전체 무역 규모는 5,666억8천만 달러, 무역흑자는 904억5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대미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7% 급락하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를 이어갔다. 반면 아프리카 수출은 56% 급증했고, 아세안·EU로의 수출도 각각 16%와 14%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수출에서 미국 비중은 10% 미만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EIU의 쉬톈천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기업들이 비용 이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있다"며 "미국의 추가 관세 압박이 과거만큼 치명적 요인으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소시에테제네랄의 미셸 람은 "중국은 대미 관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시장 다변화와 가격경쟁력으로 회복력을 유지했다"며 "이 같은 추세가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의 협상력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전략물자인 희토류 9월 수출은 약 4천 톤으로 전월 대비 30.9% 급감했다. 1~9월 누적 수출량은 전년보다 13% 늘었으나, 지난 4월 희토류 수출통제 이후 개별 월간 수치는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트리비움차이나의 코리 콤스는 "허가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 요인이 희토류 수출 급감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들은 중국의 무역구조 전환에 주목하면서, 희토류 통제가 글로벌 공급망과 전방 산업군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요 매체들은 또 중국 정부가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경우 위축된 글로벌 수요를 일부 상쇄할 수 있을지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양국의 교역 긴장과 희토류 통제, 세계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이 앞으로 중국 경제의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수출입 다각화가 국제 무역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