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표절·가로채기 결코 아니다”…이진숙, 청문회서 논문 의혹 일축하며 방어
정치

“표절·가로채기 결코 아니다”…이진숙, 청문회서 논문 의혹 일축하며 방어

강예은 기자
입력

논문 표절과 저자 가로채기 의혹을 둘러싸고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정치권이 공개 충돌했다. 16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 현장에서 이 후보자는 자신과 관련된 각종 논란에 대해 “표절이나 가로채기는 결코 아니다”며 모든 의혹을 정면으로 부인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2007년부터 충남대학교 총장 임용 이전까지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와 함께 검증했고, 모두 10% 미만의 표절률로 판정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 논문을 저도 카피킬러로 돌려보았으나 유사율이 10%를 겨우 넘었다. 카피킬러는 단순 유사 판단 도구로, 전문가가 심층 검토해야 진정한 표절률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학계에서는 표절률이 20%를 초과해야 타 논문을 베낀 것으로 본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논란에 대해서도 이진숙 후보자는 “이공계에서는 연구책임자로서 지도교수가 국가 과제를 수주해 연구를 이끈다. 논문 초반 기획과 진행을 주도해 제1저자로 등재된 것은 합당하다”며 “1저자와 교신저자 간의 실질적 혜택 차이가 없으며, 연구 기여도로 판단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논문 중복게재 의혹 역시 “두 논문은 실험 조건만 비슷할 뿐 데이터가 전혀 다르다. 공식적 연구윤리위원장 답변에서도 별개의 논문임이 확인됐다”고 했다.

 

이날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이 제시한 제자 논문 표절률 수치(2006년 56%, 2009년 52%, 2018년 48%)에 대해 이 후보자는 “총장 임용 당시 엄격한 표절 검증 절차를 통과했다. 국공립대학의 총장 검증시스템에선 어떠한 봐주기도 없다”고 맞섰다. 또한 ‘깨끗이 사과할 생각 없나’라는 질의에는 “그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더불어 이 후보자는 자녀 미국 유학비와 관련한 질의에 대해 “부부 모두 사립대 교수로 일하며 교직에 성실히 임했다. 주식 투자나 부동산 투기도 없었고 오로지 저축해서 유학비를 마련했다”고 해명했다. 마데이라 스쿨 등 고액 기숙학교 유학 배경에도 “두 딸 모두 유학을 희망해 지원했지만, 실제로는 제시된 근거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보냈다”고 덧붙였다.

 

이진숙 후보자가 현장의 교육 현안에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한 것도 논란이 됐다. 의대생 집단 복귀와 관련한 학사 유연화 조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유보통합, 외고·특목고 폐지 등 정책에 대해 즉답을 피하며 여야 의원들로부터 전문성 미흡 지적을 동시에 받았다.

 

또한 영어유치원 국공립화, 이념 관점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 관련 답변이 번복돼 구설에 올랐다. 이 후보자는 “영어 교육 등 사교육을 공교육이 대체해야 한다”며 해명을 거듭했다.

 

정치권은 이진숙 후보자의 논문 및 자녀 관련 의혹뿐 아니라, 현안 대처 능력을 두고서도 공방을 이어갔다. 야당은 장관 지명 철회와 자진사퇴를 촉구했고, 이 후보자는 사퇴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한편 정부는 인사청문회 후 최종 임명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진숙#국회인사청문회#논문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