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식중독 환자 연간치 초과”…한지아,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안전 강화 촉구
기후 악화와 폭염이 식중독 발생 증가를 부추기는 가운데, 국회가 식품 안전 대응 대책 마련을 둘러싸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집계된 식중독 환자 수가 이미 지난해 연간 환자 수를 앞지르며 초비상이 걸렸다.
6일 국회에 따르면 올해 1∼8월 식중독 누적 환자는 7천884명으로, 2024년 연간 환자 수 7천624명을 8개월 만에 넘어섰다. 원인별로는 노로바이러스가 전체의 29.3%에 해당하는 2천308명으로 가장 많았고, 살모넬라가 825명(10.5%)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집단급식 시설에서의 환자 수 증가는 두드러졌다. 올해 초·중·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식중독 환자 수는 2천66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4배 늘었으며, 어린이집은 47명에서 810명으로 무려 17배 넘게, 유치원에서도 112명에서 370명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폭염 등 기후 변화가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나라경제 보고서는, “기온이 1도 상승할 경우 살모넬라 감염이 약 47% 증폭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기후변화와 식중독 발생 예측’ 보고서에서도 평균기온이 1도 상승하면 식중독 발생 건수가 5.3%, 환자 수는 6.2%씩 늘어난다고 밝혔다.
한지아 의원은 이날 “기후변화로 식중독 위협이 상시화되고 있다”며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집단시설 급식 안전 관리 강화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대응한 먹거리 안전 종합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치권 안팎에서는 기후 위기에 따른 식품 안전 관리체계 재점검 필요성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민 단체와 전문가들도 “급식 안전 법제화와 실효성 있는 관리 시스템 도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국회는 향후 보건복지위원회를 중심으로 식중독 및 급식 안전 관련 제도 개선과 예방 대책 논의를 본격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