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휴머노이드 국책과제 시동”…CJ대한통운, 로봇 기술 상용화 박차
CJ대한통운이 대형 국책과제에 참여해 물류 현장에 특화된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나서며, 첨단 물류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1일 CJ대한통운은 에이딘로보틱스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의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세부 과제인 ‘로봇핸드 탑재형 휴머노이드’ 프로젝트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는 정부 출연금 41억 원을 포함, 2028년까지 총 51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CJ대한통운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에이딘로보틱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휴머노이드의 정밀 작업 기능 개발과 현장 적용을 맡는다. 특히 사람 손처럼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에이딘 핸드’ 적용으로 기존 로봇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물류센터 공정에 투입해 기술 실증 및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물류업계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로봇 도입이 인력난 대응과 작업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거대 물류 기업들이 자동화와 로봇 기술에 투자하는 가운데, CJ대한통운의 기술 격차 확대가 업계 전반에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 김정희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현재 물류센터에서 AI 휴머노이드를 시험 적용 중”이라며 “국책과제 경험을 기술 고도화와 상용화에 적극 연계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산학연 협력을 통한 로봇 자동화가 국내 물류산업 경쟁력을 크게 높일 요인이라고 분석한다. 한편, 정부도 물류·제조업 디지털 전환 지원 의지를 밝히며 관련 정책을 강화 중이다. 지난 과거와 비교해볼 때, 대규모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가 맞물린 이번 과제가 자동화 전환의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향후 정책 방향은 로봇 현장 적용 성과와 물류 산업의 기술 확산 속도에 달려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