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 거스러미 관리법”…조갑주위염 예방 중요성 대두
손톱이나 발톱 주변의 피부가 일어나는 거스러미를 함부로 뜯는 행동이 감염성 질환인 조갑주위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의료 현장에서는 손톱 주변 관리 부주의로 인해 조갑주위염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가벼운 부기에서 고름이 차고 열감이 동반되는 중증 질환으로 악화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손거스러미는 주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겨울철, 또는 잦은 네일아트 등으로 인해 생기며, 자극을 받은 부위에 세균이 침입해 염증이 유발된다.
조갑주위염은 손톱이나 발톱 주변이 붓고 벌겋게 변하거나 고름이 차는 것이 특징으로, 대부분 손발톱 주변의 거스러미나 상처를 방치하다 발생한다. 특히 손톱을 물어뜯거나 거스러미를 손이나 이로 제거하는 습관이 균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톱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핸드크림이나 오일 등으로 충분한 보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발톱은 너무 짧게 깎지 않고, 손거스러미는 살균된 가위나 손톱깎이로 손끝 방향으로 정돈하는 것이 권장된다.

설거지 등 손이 물에 자주 닿는 상황에서는 장갑 착용, 네일아트와 매니큐어 사용 자제 등 일상 속 관리도 필요하다. 만약 염증이 심해져 통증이나 부기가 지속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환자들은 감염이 봉와직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고대안산병원 피부과 신정진 교수는 "조갑주위염은 특별한 징후 없이도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평상시 손발톱 청결과 보습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며 "통증이 심하거나 부기가 계속된다면 의료진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계는 손톱 주변 관리에 대한 생활 속 실천이 감염성 피부질환의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조갑주위염 예방을 위한 교육과 인식 개선이 환자 관리의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이슈가 퍼스널 케어 시장의 새로운 건강 관리 트렌드를 이끌 가능성도 있음을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