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마지막 메시지 삭제된 채 발견”…부산 고교생 3명 숨진 사건, 학교 비리 진상 밝혀질까
사회

“마지막 메시지 삭제된 채 발견”…부산 고교생 3명 숨진 사건, 학교 비리 진상 밝혀질까

오태희 기자
입력

지난달 21일 오전 1시 39분쯤 부산 해운대구 좌동의 한 아파트 화단에서 예술고 여고생 3명이 쓰러져 있는 채로 발견됐고, 이들은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모두 숨졌다. 학생들의 사망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유가족들은 학생들이 생전에 가족 등에게 보냈던 마지막 메시지가 모두 삭제된 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부산교육청은 지난달 25일 15명으로 구성된 감사반을 해당 학교법인 및 산하 학교에 투입해 특별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감사에는 해당 학교 중·고등학교 학부모 등이 제기한 각종 민원을 비롯해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한 점검이 포함됐다. 앞서 숨진 학생들이 다닌 학교의 학부모회는 지난달 24일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명확한 수사와 엄정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해당 A 학교법인은 1999년부터 경영권을 둘러싼 분쟁으로 관선이사가 파견돼 운영돼왔다. 그러나 최근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임시이사 일부 교체 안을 보류한다고 부산교육청측에 통보해, 이사진 교체 문제는 당분간 진통을 이어갈 전망이다. 부산교육청은 지난달 12일 임시이사 7명 중 사직한 4명의 후임을 추천한 바 있다.

 

한편, 학생들의 사망 경위와 관련해 부산경찰청은 학생 3명이 생전에 주고받은 메시지가 모두 삭제된 사실에 주목, 디지털 포렌식 등 휴대전화 분석을 통해 정확한 사망 원인 및 관련 정황을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정확한 사고 경위와 원인을 다각도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적 비극을 넘어, 오랜 경영권 분쟁과 관선이사 체제 운영 등 국내 사립학교 운영의 구조적 문제, 학생 안전망 부재 등에 대한 재조명으로 이어지고 있다. 학부모회와 시민단체의 수사·제도 개선 촉구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지만, 학교법인 운영의 투명성 확보와 피해자 보호 강화 등 과제는 여전하다. 부산경찰과 교육청의 후속 조사 및 감사 결과에 사회적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부산고교생사망#부산교육청#학교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