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430원대 돌파”…외환당국 1년 6개월 만에 구두개입
원/달러 환율이 10월 13일 1,430원을 넘어서며 외환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이날 1년 6개월 만에 공동 구두개입에 나서며 환율 안정에 본격 대응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셧다운 영향, 미중 무역갈등 등 대외 변수로 원화 약세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0원 오른 1,430.0원에 출발해 장중 1,434.0원까지 상승했다. 이는 지난 5월 2일 기록한 1,440.0원 이후 약 5개월 만의 최고치다. 환율은 당국의 구두개입 직전까지 1,432원 선을 유지하다, 문자 메시지 발표 직후 1,427~1,428원대로 다소 진정됐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외환당국은 최근 대내외 요인으로 원화 변동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시장 쏠림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이 구두개입에 나선 것은 지난해 4월 중순 이후 처음으로, 환율 급등락 억제를 위한 대응이다.
최근 환율 급등 배경으로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장기화, 한미 관세 협상 지연, 미중 무역전쟁 재격화 우려가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에 대한 대응으로, 11월 1일부터 대중 100%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혀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하나증권 연구원은 "대외 불확실성 확대가 단기적으로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당분간 외환당국의 움직임과 미국 경제지표에 시장은 더욱 민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국인 투자자들도 환율 변동성을 주시하며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외환시장 변동성 과도 확대 시 추가 대응 의지를 밝혔다. 관계부처는 시장 심리 안정을 위해 환시장 모니터링과 적기 대응을 이어갈 방침이며, 필요시 스팟 개입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 카드를 가동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환율이 1,430원선을 돌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몇 차례에 불과하다. 현재 수준은 원화 약세와 외환불안이 본격화될 신호로 해석되며, 주요 경제지표와 대외 정세 변화에 따라 향후 시장 흐름이 좌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