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코딩 시장 판도 흔들”…코그니션, 윈드서프 인수에 업계 재편 예고
국제

“AI 코딩 시장 판도 흔들”…코그니션, 윈드서프 인수에 업계 재편 예고

윤지안 기자
입력

현지시각 14일, 미국(USA) AI 스타트업 코그니션(Cognition)이 경쟁사 윈드서프(WindSurf)의 주요 자산과 인재, 상표 및 브랜드를 인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오픈AI(OpenAI) 인수협상 결렬과 구글(Google)의 핵심 인력 영입 결정이 잇따라 나온 직후 이뤄진 이번 조치가 국제 AI 시장에 중대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AI 코딩 자동화 소프트웨어 업계의 경합 구도 변화가 본격화되는 흐름이다.

 

코그니션은 이번 인수로 윈드서프의 지식재산권과 직원 약 250명 등 모든 주요 자산을 확보한다. 세부 거래금액은 양사간 비공개로 남았으나, 코그니션은 “합류하는 인력이 기존과 같은 대우를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윈드서프는 AI 코딩 자동화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오픈AI가 30억 달러에 인수를 추진할 정도로 혁신적 기술력을 인정받던 스타트업이다.

AI 코딩 경쟁사 '윈드서프', 코그니션에 인수…오픈AI-구글 협상 여파
AI 코딩 경쟁사 '윈드서프', 코그니션에 인수…오픈AI-구글 협상 여파

윗선의 합의가 좌초되는 와중 지난 11일, 구글은 윈드서프 CEO 및 주요 엔지니어 다수를 자사로 영입했다. 구글이 지급할 보상은 약 24억 달러로, 기술 라이선스만 제한적으로 확보하되 지분 인수나 경영권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윈드서프 기술은 타 기업에도 여전히 제공될 수 있다.

 

코그니션은 자사의 대표 서비스인 ‘데빈(Devin)’ AI 코딩 에이전트로 명성을 얻고 있다. 지난 3월엔 기업가치 40억 달러로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스콧 우 코그니션 CEO는 “모든 신규 인력이 투명한 기준에서 공정하게 대우받도록 하겠다”고 밝혀 연착륙 의지를 내비쳤다.

 

일각에서는 오픈AI의 인수 무산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와의 이해관계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MS가 오픈AI의 AI 지식재산권을 모두 확보한 가운데, 추가 경쟁 기술의 유입을 오픈AI가 꺼렸다는 설명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내놨다.

 

이같은 인수합병(M&A) 흐름에 대해 미국 경제지 및 국제 주요 매체들은 “AI 코딩 자동화 시장 자체가 한 단계 도약 국면에 들어섰다”, “대형 IT 기업 간 기술 인력 확보전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며 산업 지형 변화 가능성을 짚었다.

 

향후 코그니션의 윈드서프 인수가 AI 소프트웨어 자동화 경쟁과 투자 움직임에 어떤 변곡점을 만들어낼지 관심이 향한다. 전문가들은 “AI 개발 기업 가치평가가 단기적으로 출렁일 수 있다”며, “시장 내 M&A와 산업 간 경계가 더욱 흐려지는 신호탄”으로 해석했다. 투자자들은 주요 IT 기업의 전략 변경에 대해 한층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이번 인수가 AI 시장 경쟁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코그니션#윈드서프#오픈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