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합수부 편제 의혹 정조준”…조은석 특검, 보안과장 소환 조사
계엄령 편제 의혹을 둘러싼 특검과 해경이 맞붙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3일 해양경찰청 보안과장을 소환하며, 방첩사 내부 규정 개정 이후 해경의 계엄 합수부 가담 논란이 정치권 전면에 급부상했다.
조은석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이철우 해경 보안과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합수부 파견 계획 변화에 해경 보안과의 역할이 있었는지 집중 점검 중”이라고 전했다.

이번 수사는 안성식 전 해경 기획조정관 주도의 해경 계엄 가담 의혹에서 비롯됐다. 특검팀은 안 전 조정관이 2023년 국군방첩사령부와 접촉하면서, 해경이 계엄 선포 시 자동으로 합동수사부에 들어가는 내용의 ‘계엄사령부 편성 계획’ 변경에 관여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방첩사는 지난해 초 해당 규정을 개정해, 계엄 발령 시 해경 인력 22명이 보안과·정보과 명목으로 합수부 파견 대상에 오르도록 했다. 이후 해경 안팎에서는 “합수부 파견이 실질적으로 강제됐느냐”를 놓고 논란이 불거졌다.
안성식 전 조정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함께 충암고 출신으로도 주목받았다. 2022년 3월 본청 형사과장 시절 해경 출신으로는 최초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파견됐다는 점이 추가적 의혹을 더하고 있다.
특검팀은 지난 8월 안 전 조정관의 관사, 자택, 해경 본청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으며, 지난달에는 해경 보안과 추가 압수수색으로 수사망을 좁혔다. 관련자 조사 이후 안 전 조정관에 대한 소환도 임박한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계엄 합동수사부 자동 편제”를 둘러싸고 구조적 문제와 책임 소재를 놓고 입장이 갈리고 있다. 다수 야당 의원들은 “위헌 우려가 있다”며 강력 비판 중이고, 일각에서는 “법적 근거와 실무 필요성에 따른 절차”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수사 결과가 계엄령 대비 국가 주요 기관 구조 개편에 대한 정치적 파장으로 직결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된다. 특검팀은 관련자 소환조사를 마친 뒤, 안성식 전 조정관에 대한 직접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