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값 3.7%↑, 외식 3.1%↑”…원가 부담에 체감 물가 불안 지속
가공식품·외식 등 식품 중심의 가격 인상이 7월에도 이어지며, 국민 체감 물가 부담이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통계청이 7월 3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체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1% 오르며 최근 4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가공식품(3.7%), 외식(3.1%), 수산물(5.1%) 등 주요 품목은 평균을 크게 웃도는 상승세였다.
특히 초콜릿(17.0%), 시리얼(9.9%), 커피(8.8%) 등 생활 밀접 가공식품의 급격한 가격 인상이 소비 여력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원재료 수입가 인상, 인건비·에너지비 부담, 국제 공급망 불안 등 복합적 요인이 지목된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커피·팜유·과일 등 해외 조달 원료에 대한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고, 이 영향이 소매·외식 가격에 연쇄 반영됐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커피·팜유 등 일부 수입 원재료의 한시적 할당관세 확대, 국산 농산물 구매자금 지원 강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또한 배추·무 등 주요 채소의 출하량 관리, 유통구조 개편 등 시장 내 추가 가격 급등 방지에 나섰다. 통계 당국은 “식품류 체감물가가 실제 인플레이션 지표보다 크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최근 커피, 김치, 빵 등 일부 품목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업계 역시 “공급 비용 및 인건비 상승이 소비자가격 부담으로 이어졌다”며 구조적 어려움을 전했다. 전문가들은 국내외 작황 및 국제 식품 시장의 불안정성이 반복적인 가격 변동을 낳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2023년 3.9%, 2024년 2.8% 등 최근 3년간 전체 소매물가 상승폭은 둔화 추세였으나, 일부 식품류 가격은 여전히 높은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경기 둔화와 맞물려 소비 심리가 위축돼, 생활물가 부담 완화가 국민 체감 경기 개선의 핵심 변수로 지목된다.
정부는 “대체로 소비자물가는 안정적인 흐름이지만, 식품류 가격 급등에 따른 체감물가는 높다”며 점검과 추가 대응 의지를 밝혔다. 업계 역시 원재료비 절감, 유통 효율화 등 자구책을 병행 중이나, 국제 시장 변동성 탓에 한계도 분명한 상황이다.
하반기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등 추가 대책 및 업계의 상생노력이 소비자 물가 부담 완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물가·고용·유통 등 핵심 지표 변화와 더불어 지속적인 물가 안정 시도가 실효로 연결될 지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