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소통 능력 모두 갖췄다”…송경희·김현권 위원장에 대통령실 신임 강조
정치적 신임이 교차하는 인사에서 대통령실과 야권 출신 인사가 맞붙었다. 2일 대통령실이 장관급과 차관급 인선을 발표하면서, 개인정보보호 강화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등 주요 현안이 정국의 새로운 긴장 지점으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이 송경희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원 인공지능신뢰성센터장을 개인정보보호위원장으로, 김현권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방사성폐기물관리위원장으로 내정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인공지능 정책이나 이용자 정책 등에 정통한 전문가”라며 송경희 신임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선임 배경을 밝혔다. 강 대변인은 “개인정보에 대한 위협이 커지는 시점에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보호 체계를 확립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송 위원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인공지능기반정책관,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 등 다양한 행정 경험을 쌓았다.

같은 자리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차관급)으로 김현권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선임된 사실이 함께 발표됐다. 강 대변인은 “환경과 에너지 분야에서 다년간 활동해 전문성을 두루 갖춘 인사”라며, “정무적 역량, 소통 능력, 갈등관리 능력을 입증한 만큼 방사성폐기물관리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으로 사회적 대화와 공감대 형성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한국농촌공사 비상임이사,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정책 현장에서 경험을 쌓았다.
대통령실의 이 같은 인사에 대해 정치권 일부에서는 현안 대응력 강화와 정책 드라이브 시동이라는 평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신설 위원회를 통한 사회적 갈등 해소에 방점을 둔 조합”이라고 평했다. 야권 일각에서는 위원장들의 전문성에 힘을 실으며, 향후 정책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개인정보 보호와 방사성폐기물 관리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민감 현안이다. 이에 따라 두 인사가 맡게 될 역할과 정책적 영향력에 정가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인선을 통해 각 분야에서 정책 신뢰도와 실행력을 동시에 높인다는 전략이다.
정치권은 개인정보와 환경을 둘러싼 공방이 심화될 가능성을 점치며, 향후 위원회의 세부 정책 및 운영방향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