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산 제품 최대 50% 관세”…미국, 대러 원유 제재 속 수출·고용 충격 우려
현지시각 기준 18일, 미국(USA) 정부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문제 삼아 인도산 제품에 최고 50%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인도 경제와 산업계에 대규모 고용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인도 사회에 번지고 있다. 이번 관세 부과 논의는 미중 전략 경쟁과 러시아 제재 강화라는 복합적 국제정세 속에서 펼쳐지고 있으며, 관련 산업계는 물론 양국 관계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세 인상안은 미국이 이달 초 이미 인도에 25% 관세를 적용한 데 이어, 27일부터는 최대 50%까지 인상될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시사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으로 수출되는 인도 의류, 자동차 부품, 농업, 보석 등 핵심 산업군은 시장 경쟁력 약화와 생산 축소로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인도 인력채용기업 ‘지니어스 HR테크’의 R.P. 야다브 회장은 “미국의 추가 관세가 현실이 될 경우, 미국에 의존도가 높은 업종 중 중소기업에서만 20만에서 30만명의 노동자가 즉각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구자라트주 수라트 및 뭄바이 보석 산업 등은 더욱 큰 구조조정 압박을 받을 것이라 내다봤다.

이와 달리, 인도 수출 비중이 국내총생산의 2.2% 수준에 그치는 점과 국내 시장 의존도가 높은 구조를 들어 고용시장 충격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팀리스 서비스’의 나라야난 부회장은 “중국 등과 비교할 때 대미 수출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며, 의약품이나 전자제품 등 일부 업종은 단기적으로 영향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업계에서는 영국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미국 외 수출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CIEL HR 서비스’ 아디티아 미슈라 CEO는 “관세 이슈가 지속적으로 불거지면서 전자제품, 의류, 보석, 자동차 부품, 신발 등 대미 수출기업들은 비용 통제, 고용 동결, 생산라인 효율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 시작했다”며, “직접적 영향이 비교적 적은 업종도 원료 가격 인상 등 간접적 타격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가운데, 25~29일로 예정됐던 미국 무역협상단의 인도 방문이 돌연 취소돼, 양국 관세 협상의 진전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양국 협상의 지연은 인도 수출산업에 더 큰 불안감을 남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가 당장 시행된다면 인도의 수출 및 고용지표가 단기에 급락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향후 미국과 인도 간 통상 협상 및 인도의 수출시장 다변화 움직임이 어느 정도 국제 통상질서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국경을 넘는 무역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구조적 변화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