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숏폼 시대에 입소문 흥행”…은중과 상연, 롱폼 드라마 반격 주목

김서준 기자
입력

숏폼 콘텐츠가 미디어 시장의 판도를 뒤바꾸고 있다. 이용자들은 짧고 즉각적인 자극에 집중하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역시 숏드라마, 미드폼 예능 등 다양한 시도에 나선 상황이다. 업계는 롱폼 드라마의 경쟁력이 약화된 기류를 ‘콘텐츠 유통 지형의 전환점’으로 본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은중과 상연’이 15부작 긴 호흡 서사로 입소문 시청률을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12일 공개된 이 작품은 2주차에 글로벌 톱10(비영어) 시리즈 5위에 올랐고, 국내 집계에서도 5위권 진입과 시리즈 2위 기록을 세웠다. 전 세계적 숏폼 선호 추세와 달리 감정선이 섬세하게 드러나는 장편 드라마가 다시 각광받는 사례로 분석된다.

‘은중과 상연’은 친구 관계의 우정, 질투, 상실 등 인물의 복합적 내면을 세밀하게 그려내 숏폼이 포착하기 어려운 서사의 밀도를 구현했다. 주인공들의 10대에서 40대를 잇는 삶의 변곡점과 감정의 진폭을 따라가며, 단순한 사건 나열이 아닌 인간 관계의 본질에 접근하는 시도가 특징이다.

 

특히 주인공 은중과 상연 사이의 애증, 사회적 배경 차이에서 비롯된 선망과 질투, 상호작용의 복잡성을 중점적으로 풀어나갔다. 기존 드라마에서 비중이 적었던 여성 관계의 다면적 심리를 조명한 점, 조력 사망 등 무게 있는 소재를 밀도 있게 풀어낸 점이 시청자들의 감정적 잔상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SNS에는 ‘울다가 지쳐 잠들었다’는 인증과 함께 폭넓은 공감이 이어지고 있다.

 

배우 김고은과 박지현 등은 감정선을 입체적으로 구현하며 극의 몰입도를 높였고, 송혜진 작가와 조영민 감독의 서사와 연출이 어우러져 장르 구분을 허문 또 다른 감성적 트렌드를 만들어냈다. 실제 조 감독은 인간 관계를 ‘인생을 빚어내는 과정의 일부’로 해석했으며, 송 작가는 섬세한 심리 묘사로 공감을 견인했다.

 

글로벌 OTT 시장에서는 미드폼, 숏폼 등 짧은 콘텐츠 중심의 서비스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은중과 상연’처럼 보편적 경험과 감정을 깊이 그려내는 긴 이야기 역시 꾸준히 수요가 확인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콘텐츠 소비 패턴 다변화와 함께 롱폼·숏폼 간 경계가 점차 허물어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콘텐츠 산업 전문가들은 숏폼의 즉각성은 시대적 요구이나, 인간 관계와 내면의 층위를 다루는 서사가 여전히 대중적 공감의 원천임을 지적한다. 산업계는 이번 ‘은중과 상연’ 성공이 플랫포머·제작사 모두에 새로운 기획 전략의 전환점이 될지를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은중과상연#넷플릭스#숏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