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4차 피의자 소환”…해병특검, 채상병 외압 수사 막바지 윤석열 정점 수사 예고
수사외압 의혹을 둘러싸고 해병특검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다시 맞붙었다. 채상병 순직 사건 조사가 급물살을 타며 윤석열 전 대통령 소환 논의까지 거론돼 정치권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이종섭 전 장관을 피의자 자격으로 네 번째로 소환해 조사에 나섰다. 이날 소환은 지난 1주일간 이 전 장관을 집중 조사하며 수사의 정점 돌파를 예고한 조치로 해석된다.

현장에 출석한 이종섭 전 장관은 ‘국방부가 재수사 과정에서 혐의자를 축소하라고 지시했느냐’는 질문에 “국방부에서 재수사한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국방부 조사본부가 군검찰에서 경찰로부터 회수한 해병대 수사단 조사보고서를 재검토한 것은 수사가 아니라는 취지다. 이어 ‘수사 외압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밝혔다. 또한 박진희 군사보좌관의 전화가 외압 정황이라는 지적에도 “동의할 수 없다”고 부인했다.
이번 사건은 박진희 군사보좌관이 2023년 8월 국방부 조사본부에 직접 전화를 걸어 혐의자 4명 축소를 사실상 요구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당시 제외된 혐의자 가운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포함돼 파문이 커졌다.
특검팀은 이종섭 전 장관을 지난 한 주에만 네 차례나 불러 조사를 이어가며 외압 의혹의 실체를 좁히고 있다. 이 전 장관은 채상병 순직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 재임했던 인물로, 수사 외압 논란의 중심축이자 윤석열 전 대통령과 연결되는 핵심 고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최종 수사 향방에 따라 정국이 요동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 추가 조사 후 이르면 이번 주 안에 윤석열 전 대통령 측과 출석 일정을 조율할 방침이다. 수사 막바지로 접어든 가운데 정치권은 사실관계와 법적 책임 소재 규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권은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외압 논쟁이 다시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특검의 윤 전 대통령 소환 조사가 현실화될 경우, 정국 판도가 출렁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