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안보 협력에 집중”…이재명 대통령, 이시바 총리와 도쿄 정상회담
정치적 현안이 교차하는 한일 간 정상회담이 23일 도쿄에서 열렸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총리 관저에서 마주 앉으며 경제·안보, 과거사 문제 등 복잡한 쟁점이 도마 위에 올랐다. 그동안 불안정했던 한일 관계는 새로운 통상질서와 안보 환경 속에서 주요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날 회담은 6월 17일 G7 정상회의 이후 67일 만의 만남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 55분께 도쿄 총리 관저를 찾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소인수 회담에 돌입했다. 이후 확대 회담까지 예정돼 있으며, 두 정상은 정상회담 종료 후 공동 언론발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회담을 앞두고 이시바 총리는 관저에서 이 대통령을 밝은 미소로 맞이했으며, 양국 정상은 대화를 이어가며 회담장으로 함께 이동했다.

양 정상은 경제·안보 협력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에 들어갔다. 특히 미국 주도의 새 통상질서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한일 양국의 공동 대응 방안 마련이 중요한 의제로 부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양측 모두 굳건한 한미일 협력 아래 역내 평화를 실현하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설명했다.
한편, 회담에서는 과거사 문제, 일본산 수산물 수입 등 양국 간 쟁점에 대한 언급이 주목받았다. 전문가들은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등 한일 양국 역사 인식의 계승 방침이 선언문에 반영될지 여부를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수산물 수입 및 과거사 현안의 언급 비중에 따라 협력 동력이 영향을 받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권교체를 거친 양국 정상의 두 번째 회담이 양국 여론에 미칠 파장에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회담 결과와 공동선언 내용에 따라 향후 한일 관계의 진전 수준이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한일 정상회담이 경제, 안보, 과거사 등 다층적 과제를 놓고 치열한 협상에 들어간 가운데, 정치권과 시민사회 모두 회담 종료 후 발표될 정상 간 발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후속 방안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