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책임자로서 공식 사과”…이재명 대통령,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에 직접 고개 숙였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행정시스템 마비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며 정치권 충돌이 거세다. 실망감에 휩싸인 여론과 정국의 긴장감이 고조되자, 이재명 대통령이 28일 국민을 향해 공식 사과 메시지를 내놓았다. 취임 이후 자신의 정부에서 발생한 직접적 사고에 책임자로서 고개를 숙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고 밝힌 뒤, “취약 계층 지원, 여권 발급 등 중요 민생 시스템은 밤을 새워서라도 최대한 신속히 복구하길 바란다”며 관계부처에 비상한 각오를 촉구했다. 그간 실용주의, 민생 중심 행보를 강조해 온 이 대통령의 기조가 반영된 것이다. 그는 “2023년에도 대규모 전산망 장애로 큰 피해가 발생했는데, 2년이 지나도록 핵심 국가 전산망 보호를 게을리해 막심한 장애를 초래한 것 아닌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전임 정부 책임 범위까지 포괄한 전반적 진상 조사 방침이 언급됐다.

야권에서는 장관 경질 요구 등 강경 공세가 쏟아졌다. 국민의힘은 2023년 정부 행정전산망 마비 당시 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의 경질을 촉구했던 선례를 지적하며,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통령의 조치를 요구했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빠른 대응과 복구가 우선”이라며 경질 등 인적 쇄신론에 선을 그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경질은 논의한 바 없다”고 밝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향후 고강도 조치 가능성 등 전망이 나오지만, 현재로선 이재명 대통령이 사태 수습과 문제 원인 규명에 집중하며 지휘체계 유지 쪽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야권의 공세와 여론 변화에 따라 정국의 추가 변곡점 형성 여부가 주목된다.
이날 국회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정부는 신속한 복구와 함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도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