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가전산망 장애 속 복구 박차”…260개 시스템 정상화, 국민불편 장기화 우려

송우진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가동이 멈췄던 정부 전산망의 복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전체 709개 장애 시스템 중 260개가 정상화돼 복구율이 36.7%로 집계됐다. 1등급 주요 시스템 복구율은 75%, 2등급은 51.5%를 기록하면서 정부와 현장 기관의 긴급작업이 이어지는 중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12일 오후 9시 기준 정상화된 시스템은 하루 사이 12개가 추가되며 누적 260건으로 늘었다. 복구 시스템에는 보건복지부 차세대 사회서비스 바우처결제, 행정안전부 행정정보공동이용, 온나라 이음, 조달청 홈페이지 일부, 공공조달계약이행확인, 혁신조달플랫폼 등 국민 실생활과 연결된 다수의 서비스가 포함됐다.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시스템 40개 중 30개가 복구(75%)됐고, 2등급 68개 중에는 35개(51.5%), 3등급 261개 중 112개(42.9%), 4등급 340개 중 83개(24.4%)가 각각 정상화됐다.  

   

이번 정부 전산망 복구는 대규모 IT 인프라 재해 대응 체계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이 한 곳에 집중된 현 구조가 사고 발생 시 대국민 행정서비스 파급을 키운 셈이다. 복구 속도 확보를 위해 데이터 이중화, 분산 시스템, 물리적 방재 시스템의 강화 필요성이 업계 안팎에서 제기된다. 분야별로 서비스 영향도 차이가 커, 조달·복지·문화·행정 등 현장별 맞춤형 긴급지원도 병행되고 있다.  

   

해외 선진국은 이미 국가 핵심 전산자원을 여러 지역에 분산하는 다중 백업 체계, 장애 시 자동 전환 및 클라우드 기반 재해 복구(DR) 시스템 도입을 확대해 왔다. 국내에서도 IT 거버넌스, 데이터 레질리언시(Resiliency) 강화가 거듭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화재 발생 2주 만에 시스템 장애 규모를 709개로 상향 정정하는 등 인프라·관리 체계 점검도 병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복구가 진전되고 있지만 완전 정상화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사안을 계기로 공공 IT 인프라의 고도화와 운영 신뢰성 강화가 산업·사회 전반의 긴급 과제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산업계는 이번 전산망 장애 복구가 장기화되면서 국민 불편 해소와 함께, 디지털 행정서비스 신뢰 회복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기존 화재 원인 조사와 함께, 하반기 중 종합적인 IT 인프라 개선 방안을 추가로 마련할 예정이다.  

   

기술과 신뢰, 거버넌스와 신속한 대응이 공공 IT시스템 발전의 필수 조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중대본#정부전산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