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하루 200건 고속도로 통행료 더 받아”…김희정, 도로공사 환불체계 미흡 비판

신도현 기자
입력

고속도로 통행료 과수납 문제를 두고 정치권과 한국도로공사가 정면 충돌했다.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이 도로공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 시스템 오류 등으로 10억원에 달하는 통행료가 더 부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불되지 않고 남은 금액도 1억원에 달해 민심이 다시금 들끓고 있다.

 

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희정 의원은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전국 고속도로에서 총 39만547건의 통행료가 잘못 부과됐다”고 밝히며, “액수로 치면 9억9천700만원이 과수납됐다”고 지적했다. 하루 평균 약 200건 꼴로 통행료가 이용자에게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던 셈이다.

상세 내역을 보면 하이패스 부문에서 12만5천여건, 6억4천200만원이 잘못 부과됐고, 환불률은 94%를 기록했다. 반면, 원톨링 시스템에선 같은 기간 26만5천여건의 과수납이 발생했는데 환불률은 78%에 머물렀다. 하이패스와 원톨링을 합산하면 도로공사가 과수납하고도 돌려주지 않은 통행료는 약 1억원이었다.

 

김희정 의원은 통행료 과수납의 원인으로 “자동 징수 시스템의 통신 오류와 차량 번호판 인식 오류”를 지목했다. 실제 도로공사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원톨링 시스템에서 2020년부터 2024년 사이 통신 오류 및 차량번호 인식 오류가 35만4천건에 달했다. 김 의원은 “노후 장비를 조속히 교체해야 한다”며 “환불 체계를 더욱 촘촘히 개편해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신속히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놓고 도로공사의 시스템 관리·환불 체계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 현장 이용자들 사이에서도 “계속되는 시스템 오류에도 환불을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환급받지 못하는 게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도로공사와 유관 부처를 상대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 실태 점검 뿐 아니라 관련 환불 방안 개선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정부는 향후 노후 장비 교체와 환불 체계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희정#한국도로공사#고속도로통행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