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생활비 월 120만원 부족”…국민, 은퇴 시점 9년 앞당겨 조기 은퇴
국민들이 노후에 매월 약 35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반면, 실제로 준비된 평균 생활비는 230만원에 그쳐 약 120만원의 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기대와 현실의 차이가 커지면서 안정적 노후 준비의 중요성이 커진다고 분석한다. 노후 생활대책 및 퇴직 이후 경제활동 방향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8일 발표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5월 30일부터 6월 18일까지 전국 25∼74세 남녀 3,000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은 의식주만 해결하기 위한 최소 생활비로 평균 248만원, 여행·여가와 손자녀 용돈까지 포함한 적정 생활비로 350만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실제 조달 가능한 월 생활비는 평균 230만원으로, 최소 필요 생활비에도 모자란 것으로 확인됐다. 적정 생활비 대비 실제 준비금의 비율은 65.7%에 불과하다.
![[노후 최소 생활비와 적정 생활비 통계 / KB금융지주 제공]](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0928/1759022563674_275195586.jpg)
2023년 조사와 비교하면 최소 생활비는 3만원, 적정 생활비는 19만원 줄었으나, 생활비 부족 현상은 여전하다.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 국민연금을 선택한 비율이 88.6%로 가장 높았고, 금융소득(50.2%), 개인연금(47.8%), 근로소득(47.5%), 퇴직연금(42.2%) 등이 뒤를 이었다. 노후 준비에 착수하는 평균 나이는 48세로 집계됐다.
은퇴 시점에 대한 인식과 현실도 차이가 컸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2,401명의 희망 은퇴 나이는 65세였지만, 이미 은퇴한 503명의 실제 은퇴 나이는 평균 56세로 9년이나 조기 은퇴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주택을 담보로 활용하는 주택연금에 대해 ‘활용 의향이 있다’ 또는 ‘활용 중’이라는 비율은 33.3%로, ‘활용 의사가 없다’(33.0%), ‘생각해 본 적 없다’(33.6%)는 답변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노후에 거주지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꼽은 요인은 의료시설이었으며, 다음으로 교통 편의, 공원 등 자연환경, 마트 등 쇼핑시설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노후 생활비 부족과 은퇴 시점의 격차를 수치로 확인하며, 실질적 노후 준비와 사회안전망 강화 필요성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정책 방향은 물가·연금제도·고용시장 구조 변화 등 주요 지표 흐름에 좌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