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약개발 상용화”…메가존클라우드, 아이젠사이언스 협력 시동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융합이 신약개발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16일 아이젠사이언스와 공식 협약을 맺고, 신약개발 분야의 AI 및 디지털 전환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메가존클라우드는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기업이고, 아이젠사이언스는 고려대학교 산학 기반의 AI 신약개발 기업으로, 난치성 질환 저분자 신약 연구를 인공지능 플랫폼 중심으로 혁신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협약을 ‘AI 기반 신약개발 상용화 전환점’으로 평가한다.
협력의 핵심은 AI 신약개발 플랫폼과 클라우드 운용의 결합이다. 아이젠사이언스가 자체 개발한 AI 신약개발 플랫폼 아이젠인사이트(AIGEN InSight), 화합물 설계 특화 플랫폼 아이젠켐테일러(AIGEN ChemTailor), 의생명 언어모델 미어캣(Meerkat) 등을 고성능 GPU 클라우드 위에서 운영한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인프라 제공과 함께 AI 연구에 최적화된 운영 및 기술 컨설팅을 지원한다. 기존 대비 수백~수천 테라바이트(TB) 단위 생물학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예측과, 신약 후보물질 탐색 및 합성 예측의 반복 시뮬레이션이 신속해질 전망이다.

양사는 신약개발사 및 임상시험수탁기관(CRO) 등 제약사 대상 공동 영업과, 클라우드 기반 AI 공동 활용사업을 전개한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독성 예측, 임상 성공률 예측 등 조기단계부터 AI의 개입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아이젠사이언스는 지난해 스케일업 팁스에 선정되며 글로벌 성장력도 입증한 바 있다. 이번 협업으로 신약개발 기간 단축과 성공률 향상이 기대된다는 평이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는 딥마인드, 인실리코메디신 등 글로벌 AI 신약개발 기업이 이미 임상·허가 단계까지 진입한 상황이다.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는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과 병행한 임상시험 데이터 분석, 맞춤형 신약 설계 경쟁이 한창이다. 업계 관계자는 “AI 기반 설계 및 검증 단계 확대가 국내외 시장 진입 시 핵심 변수”라고 진단한다.
신약개발에서의 AI·클라우드 활용 확대는 규제 및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와도 맞물린다. 현재 식약처는 AI 신약개발 플랫폼의 임상 전 단계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에 착수했으며, 개인정보 보호, 알고리즘 설명 가능성 등도 주요 검토 과제다.
염동훈 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AI 기술이 실제 산업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대표적 사례가 신약개발”이라며 “안정적이고 강력한 클라우드-AI 환경이 한국 신약 연구개발 시장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협력이 시장 확산으로 이어질지, AI 신약개발의 실질적 대중화 전환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