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부총리 중심 국정현안 논의”…김민석, 3+알파 회의체 첫 가동
국정 현안을 둘러싼 내각 재정비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총리와 두 부총리 중심의 ‘3+알파(α) 회의체’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처음 문을 열며 내각 통할 방식 전반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최근 정부 내 다양한 국정 협의체가 실효성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이날 회의는 내각의 한층 강한 집중력과 조정력을 확보하려는 시도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오전 7시 시작된 제1회 ‘3+알파 회의’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경제부총리),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기정통부총리)이 참석했다. 아울러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이 배석해 첫 의제를 논의했다. 총리실은 “각종 국정협의체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체계 정비와 내각 통할력 강화 방안이 주요 논의 주제였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회의를 통해 내각 내 긴밀한 협력 구도를 강화하고, 핵심 현안에 대한 빠른 의사결정 체계 구축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3+알파 회의’는 과거 ‘총리-부총리 협의회’를 한 단계 진화시킨 형태로, 국무총리, 경제·과기정통 부총리를 기본 축으로 삼는다. 여기에 각 회차별 안건 소관 부처 장관이 필요에 따라 참석하며, 국무조정실장이 배석한다. 2025년 1월 이후에는 기획예산처 장관도 합류해 회의 효과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회의는 격주 개최를 원칙으로 하며, 매번 1~2건의 핵심 현안에만 집중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국무총리실이 내각 조정 기능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사전 포석이란 해석도 나온다. 여권 내 한 관계자는 “총리가 직접 두 부총리와 현안 중심의 회의를 정례화하는 것은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신호”라고 진단했다. 반면, 일각에선 “협의체 난립이 오히려 의사결정 지연으로 번지지 않겠느냐”는 우려의 시선도 감지된다.
국무총리실은 “각종 국정 현안에 대해 최고위 관점에서 신속하게 논의하고, 필요시 범정부 대응체계로 연계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핵심 정책 사안에 대한 내각 책임성과 문제 해결력을 높이겠다는 의지도 덧붙였다.
정부는 ‘3+알파 회의’ 도입에 맞춰 향후 핵심 현안을 선별해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국회와 정치권 역시 새 회의체 구성이 향후 정국의 협치 구조, 내각 의사결정 속도에 어떤 변화를 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