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우체국 금융 서비스 복구”…정부, 전산 장애 조치 속도

김소연 기자
입력

우체국 금융 서비스가 화재로 인한 전산 장애를 극복하고 전면 복구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오후 9시부터 우체국 체크카드 결제, 인터넷뱅킹, 자동화기기(ATM), 보험 청약 및 보험금 청구 등 전자금융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재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설 화재로 촉발된 대규모 시스템 중단 사태에 대한 대응이다. 정부는 화재 진압 이후, 국가자원 내 네트워크 장비와 우체국 서버 등 핵심 행정 정보시스템에 대한 긴급 점검 및 재가동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했다.

 

우정사업본부 측은 전날 밤부터 시스템 정밀 점검을 시작해 약 하루 만에 주요 금융서비스 복구를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하드웨어와 데이터베이스 일체의 정상 작동 상태를 직접 검증했고, 전산망 이중화와 예비 시스템 전환 등 장애 대응 프로세스의 실행력을 시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유관 시스템에서 24시간 모니터링 체계와 자동복구 기능의 실효성도 재확인했다.

지연됐던 온라인·ATM 거래, 보험 서비스 등이 정상화되면서 일상 금융 환경의 불편도 크게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편 서비스의 경우, 일부 데이터 동기화와 추가 점검이 필요해 29일 오전 서비스를 재개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단계적 복구가 이뤄진 것은 물리적 네트워크 손상과 복수 서버군의 보안 점검에 요구되는 시간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해외 주요국의 국가 전산센터 관리와 비교할 때, 이번 사례는 비상대응 매뉴얼의 실제 작동 경험을 제공한 점이 특징이다. 미국이나 독일 등도 지난 수년간 물리적 재해에 대비한 클라우드 백업과 서버 지역 분산 정책을 강화해왔다. 정부 부처 간 협업 체계와 정기적인 시스템 복원 훈련 역시 주요 정책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본은 전산 시스템 정상화와 함께 고객 피해 파악 및 보상 대책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정보 인프라 복구 과정에서는 데이터 안전성과 네트워크 보안 확보가 동시에 요구됐다. 전문가들은 “국가적 인프라의 이중화와 신속 복구 역량이 디지털 행정의 신뢰성을 좌우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산업계는 국가 단위 전산 장애가 실생활, 금융, 배송 등 다방면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근본적인 시스템 이중화와 데이터 분산, 자동 복구 절차 고도화가 앞으로도 행정정보 기반 산업의 핵심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체국금융#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