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가 데이터센터 화재 복구 총력”…정부, 시스템 28일 정상 가동 목표

이예림 기자
입력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중단된 주요 정보 시스템의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사고는 행정·공공 데이터 서비스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전산 기반 정부 서비스의 안전성과 데이터 백업 체계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행정안전부는 추석 연휴 기간에도 범정부 비상 대응 체계를 24시간 유지하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동원해 복구 과정의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화재가 국가 디지털 전환 정책의 신뢰성을 좌우할 ‘복구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9월 2일 기준, 화재로 인해 가동이 중단된 647개 핵심 시스템 중 21개 1등급 시스템 등 112개만이 복구돼 복구율이 17.3%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데이터센터 화재는 7~8전산실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이곳의 전원장치와 서버, 네트워크 장비의 손상이 광범위하게 확인됐다. 특히 시스템 간 연계성이 높아 상층부 전산실의 장애가 하부 시스템 복구까지 지연시키는 상황이다. 정부는 통상 1개월 이상 소요되는 전원장치 수리를 전문업체와 협업해 10일 내로 단축하는 등 속도전에 나서고 있다. 동시에 대전 본원의 주요 인프라 교체와 손실 장비의 신속 구매·배치, 민관 전문가 투입 등 다각도의 대응책을 진행 중이다.

기술적으로는 파손된 전자 장비의 효율적 이전과 재구축에 중점을 두되, 데이터 무결성과 정보보안 유지가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 특히 백업 체계가 부실했던 내부 클라우드 시스템(G-드라이브)은 기존 용량과 백업 어려움을 이유로 자체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정부는 시스템 운영 환경 조기 구축에 주력하는 한편, 데이터 백업 아키텍처의 전면 개선을 예고한 상황이다.

 

복구는 재난·민원 서비스, 행정 정보 통신 등 공공 서비스의 정상화를 목표로 진행된다. 96개 주요 전소 시스템의 경우 임시 임대된 대구센터로 이전돼, 9월 14일까지 장비 반입과 안정성 점검을 마치고, 28일 재가동을 목표로 한다. 이번 사고는 국민 서비스 이용과 행정업무 전반에 실질적 타격을 준 만큼, 보다 견고한 비상 체계와 백업 분산이 시장과 사용자의 요구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 국가의 사례와 비교하면, 재난에 대비한 멀티센터 이중화와 주기적 복구 훈련이 취약 계층 서비스 안정에 필수 요소로 꼽혀 왔다. 국내 정부 데이터센터가 중앙 집적 구조에 머물렀던 점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재검토가 불가피해 보인다.

 

정부는 예비비 활용 등 신속한 복구 예산 집행을 약속했으나, 실제 투입 규모는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편, 데이터 백업 미흡 문제와 시스템 운영 정책에 대한 책임성 논의도 공식화됐다. 행안부는 “G-드라이브는 용량상의 한계로 백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며, 향후 개선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진정한 복구는 단순한 장비 대체를 넘어, 데이터 보호·정보통신망 다중화·운영체계 혁신 등 전방위적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가 공공 클라우드 신뢰 회복과 데이터 보안 체계 강화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