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매수 시한 또 연장”…트럼프, 美 IT주권 갈림길
틱톡 인수·매각 시한 연장이 미국 IT산업과 글로벌 데이터 통제 이슈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현지 기준 22일, 틱톡의 미국 내 매각 및 운영 허용 기한을 네 번째로 연장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작년 미 의회가 제정한 새로운 규정에 따라 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 미국 사업 지분을 올해 9월까지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틱톡 사용이 공식 금지된다. 앞서 시한은 1월이었으나, 트럼프의 세 차례 연장 결정으로 9월까지 유예됐다. 트럼프는 “매우 유력한 미국 매수자들이 있다”고 언급했으나, 구체적 인수 후보는 밝히지 않았다.
틱톡 매각을 위한 거래는 미국 정부와 매수자, 바이트댄스 그리고 중국 당국의 승인까지 복잡한 절차를 남긴 상태다. 트럼프는 “시진핑 주석과 실무 논의는 아직 없다”고 했고, “현안이 해결될 때까지 추가 연장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틱톡은 미국에서 약 1억7000만 명의 사용자를 둔 대표적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으로, 데이터 관리, 알고리즘 통제권 등 핵심 IT 주권 이슈의 상징이 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틱톡 매각 불발 시 앱이 ‘암흑상태’, 즉 미국 내 서비스 차단 상황이 현실화될 수도 있다며 업계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중국의 매각 승인 불발 시 틱톡 서비스 중단”을 공식 시사했다.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글로벌 소셜미디어 산업 질서와 데이터 보안 규제 판도까지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미국의 틱톡 규제안은 유럽연합, 인도 등 글로벌 주요국의 빅테크 규제와 연동된 사례로 해석된다. ‘국가 안보’와 ‘IT 경쟁력’ 논리가 맞물리면서, 앞으로 미국과 중국 기반 글로벌 플랫폼 간 이해관계 다툼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틱톡 매각 시한이 재연장된 것은 미중 디지털 주권 다툼의 중대한 분기점이며, 실제 서비스 중단이나 인수협상 결렬이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IT산업 구조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한다. 산업계는 틱톡의 향후 행보와, 미국의 데이터 규제 강화 움직임이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