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신용등급 AA+ 유지”…S&P, 재정 적자 확대 우려 속 ‘안정적’ 전망
국제

“미국 신용등급 AA+ 유지”…S&P, 재정 적자 확대 우려 속 ‘안정적’ 전망

문수빈 기자
입력

현지 시각 8월 18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USA)의 국가 신용등급을 장기 ‘AA+’, 단기 ‘A-1+’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 역시 ‘안정적(stable)’이라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미국의 재정 적자 확대에 따른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관세 수입 등 정부의 전반적 수입 증가가 재정 악화를 일정 부분 보완할 수 있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S&P는 “최근 미국 내외 정책 변화 흐름이 경제의 탄력성과 구조적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며 등급 유지 배경을 설명했다. 또 세수 및 지출의 변동성이 재정에 부담을 안길 수 있지만 관세 수입을 포함한 정부 수입 증가가 일부 완충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올해 미국의 재정 적자 폭이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을 전망이지만, 단기간 내 재정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평가했다.

S&P, 미국 신용등급 AA+ 유지…재정 적자 확대 우려 속 관세수입 증가 상쇄
S&P, 미국 신용등급 AA+ 유지…재정 적자 확대 우려 속 관세수입 증가 상쇄

이번 신용등급 유지 결정의 또 다른 배경으로 경제의 복원력, 신뢰받는 통화정책, 약 5조 달러로 확대된 부채 상한선 및 재정적자의 점진적 관리 등이 꼽혔다. 다만 시장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장기적으로 기업 신뢰 저하와 성장 둔화,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고용 회복 지연 등 다양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 S&P도 재정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초당적 합의 도출이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S&P는 정책 당국의 정치적 난맥상, 조세정책 변경 혹은 지출 억제 실패가 재정 적자 확대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경우 2~3년 내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내놓아 정치 리스크에 대한 시장 경계심을 높였다. 더불어 연방정부 정책 결정의 예측 불확실성이 제도 신뢰나 통화정책의 독립성까지 해칠 경우 추가적인 등급 조정 압력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국제 주요 매체들 역시 미국의 신용등급 결정과 재정 리스크 요인을 집중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S&P가 미국의 재정 악화 속에서도 신용도를 지켰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여전히 그림자처럼 남았다”고 진단했다. CNBC는 “등급 전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나, 워싱턴의 정치 교착이 언제든 금융 신뢰를 위협할 수 있음이 재확인됐다”고 보도했다.

 

한편 S&P는 당분간 미국 등급은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정치 및 재정 리스크 현황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임도 시사했다. 투자자와 금융 시장은 미국 신용등급의 향후 변화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 의회의 재정 협상, 정책 방향에 따라 신용등급 전망은 언제든 재조정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p#미국신용등급#재정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