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독립 역사 기리는 데 앞장서겠다”…우원식, 유관순 열사 묘역 참배 후 책임 강조

정유나 기자
입력

독립운동의 상징 유관순 열사를 둘러싼 역사적 책임의식이 정치권에서 다시 한 번 부각됐다. 2일 서울 중랑구 망우역사문화공원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이 유관순 열사 합장 분묘를 참배하며 “독립의 역사를 기리는 데 국회가 앞장서겠다”고 밝힌 것이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시대적 통합과 역사교육의 중요성이 정치의 주요 의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유관순 열사는 모르는 사람이 없는 독립운동가이지만 당시에는 무연고로 분류돼 유해와 시신을 온전히 모시지 못했다”며 “유관순 열사 합장 분묘는 가슴 아픈 우리 역사의 흔적 같아 마음이 무겁다”고 심경을 전했다. 이어 “올해가 광복 80주년인데 자랑스러운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만든 우리 선조에게 감사하고 그 정신을 기리는 일을 꼭 해야 한다”며 “앞으로 독립의 역사를 잘 알리고 뜻을 기리는 일에 국회가 잘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망우역사문화공원 참배에는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동행해 조봉암, 한용운, 오세창, 방정환 선생 등 주요 독립운동가의 묘역을 함께 참배하며 역사적 의미를 되새겼다.

 

이보다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은 충북 청주에서 중증 화상 산업재해 피해자인 몽골 출신 이주노동자 오기나 씨를 직접 만나 제도 개선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국회의장으로서 또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한 사람의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비용 절감이 생명을 위협하는 현실로 인해 발생한 사고여서 매우 안타깝다. 이는 개인 한 사람의 불행이 아닌, 이주노동자들이 처해 있는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다.

 

오기나 씨는 2019년 태양광 설비와 전신주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던 중 기본적인 전력 차단과 안전 장비 지급이 없는 상태에서 감전돼 두 팔을 잃었다. 오기나 씨의 사연이 언론을 통해 다시 알려지면서 이주노동자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정치권과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광복 80주년에 즈음한 역사적 의미뿐 아니라, 현안으로 부상한 노동자 안전 문제를 두고도 책임과 실질적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국회는 향후 독립운동 기념사업 확대 및 산업재해 재발 방지 대책 등 관련 법·제도 개선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원식#유관순열사#오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