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승절 참석 놓고 외교 고민”…이재명 대통령, 한중미 관계 저울질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 여부를 두고 한국 정부가 외교적 고민에 직면했다. 중국 정부가 오는 9월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대회, 이른바 전승절 행사의 초청장을 보내며 이재명 대통령의 참석 의사를 타진했기 때문이다. 한중 외교 협력이 현안인 가운데, 미중 전략 경쟁이 격화되는 현재의 외교 지형에서 청와대의 선택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측은 최근 한국 정부에 이재명 대통령의 전승절 행사 참석 가능성을 외교 채널을 통해 공식적으로 문의했다. 중국은 사회주의권 국가들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서방국가 정상들에게도 일제히 참석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초청 방침도 확정됐다는 보도를 내놓은 바 있다.

정부는 과거 사례와 한중관계, 한미동맹 등 복합적 외교 환경을 면밀히 검토 중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여러 제반 상황을 봐서 검토해야 한다”며 “고려해야 할 게 많다”고 신중한 입장을 전했다. 특히 2015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70주년 행사에 참석한 전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유일하게 서방 지도자 자격으로 열병식에 자리했던 만큼, 한미 관계가 상당한 파장을 겪었다는 점이 정부의 고심을 더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한중관계 강화와 북핵 문제 해결을 기대하며 참석했으나, 곧이어 북한 핵실험이 재개되고 주한미군 사드 배치가 논의되면서 한중관계는 극심한 긴장으로 악화됐다. 이번에도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 한미동맹을 우선시하는 한국 외교의 기조와 충돌할 여지가 높다는 평가가 뒤따르고 있다. 특히 중국이 대외적으로 군사력을 과시하는 자리에 한국 대통령이 참석하는 데 대한 미국 측의 의구심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간 신경전이 지속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베이징을 찾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아울러 10월 말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문 가능성도 외교적 고려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날 정부는 전승절 참석 여부에 대해 "신중하게 종합 판단할 것"이라며 결정을 유보했다. 청와대와 외교부가 한미동맹과 한중관계라는 외교적 균형 속에서 해법을 고심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최종 선택에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