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와 초가집에서 만난 여름”…제주민속촌 꽃길 축제, 일상에 추억을 더하다
여름의 제주에서 해바라기를 품은 축제가 찾아왔다. 예전엔 단순한 볼거리로 여겨졌던 꽃 축제도 이제는 감성적 체험과 일상의 기념으로 자리 잡았다. 해와 바람이 머무는 제주민속촌에서 일어난 작은 변화는, 사소한 듯 보이지만 소중한 추억이 돼 많은 이들의 마음에 남는다.
최근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제주민속촌에서는 ‘해와 바람의 정원, 해바라기 꽃길 축제’가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해바라기 물결과 초가집이 마을길을 수놓아, 축제를 찾은 사람들은 꽃길을 걷고, 예스러운 풍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진을 찍는다. 아이와 부모, 연인, 친구까지 모두가 해바라기 앞에서 웃으며 서로의 존재를 확인한다는 후기가 줄을 잇고 있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SNS에는 ‘#해바라기축제’, ‘#민화체험’ 같은 해시태그가 급증했고, 포토존에서 인증샷을 올리는 게시물도 행사 기간 순식간에 수백 건을 넘었다. 또한, 작년 대비 주말 관람객 수도 눈에 띄게 늘었다는 이야기가 현장 곳곳에서 들려온다.
전문가들은 이 흐름을 세대가 어우러지는 ‘공감의 축제’라 정의한다. 트렌드 분석가 장지우 씨는 “민화 채색이나 전통놀이 체험은 참여자 모두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성과 유년의 추억을 불러온다”며 “제주라는 지역적 정취가 더해져, 단순한 축제를 넘어 가족·이웃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시간으로 확장된다”고 표현했다.
참여자들의 반응도 흥미롭다. 한 가족은 “아이와 직접 만든 민화에 웃음이 절로 났다”, 또래 친구들은 “예쁜 해바라기 앞에서 셀카를 찍으니 어릴 적 소풍 온 듯 설레었다”고 고백했다. 커뮤니티에서는 “전통놀이를 해보니 어른도 동심으로 돌아간 듯했다”는 공감도 쏟아졌다.
메밀 요리와 민속 음식, 굿즈, 갤러리 카페 등 취향을 만족하는 공간 역시 축제의 품을 넓혀준다. 해시태그 챌린지나 소비자 참여형 프로그램도 일상과 추억을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평범한 하루를 특별하게 만드는 힘, 그것은 가족·친구와 직접 누리는 체험과 제주만의 고요한 풍경이 주는 위로에서 비롯된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제주민속촌의 해바라기 꽃길은 단지 트렌드가 아니라, 삶을 기억하는 새로운 방식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