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솔라나 등 알트코인 장기 성장 가능성”…가상자산 업계, 신흥 프로젝트 투자 열기 고조
현지시각 기준 28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 이더리움(Ethereum), 솔라나(Solana), XRP(엑스알피) 등 주요 알트코인이 장기적으로 폭발적 성장 잠재력을 갖출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비트코인시스템(bitcoinsistemi) 등 주요 외신은 이들 주요 네트워크와 함께 마가코인 파이낸스(MAGACOIN FINANCE) 등 신흥 프로젝트가 다중 배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로 떠오른다고 평가했다. 이번 전망은 전통 기관투자가와 개인 투자자 모두의 전략 변화와 연계돼 국제 가상자산 시장 재편에 직접적 파장을 미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여전히 웹3 생태계의 기반이자 제도권 실험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디파이(DeFi), 토큰화, 기관 간 정산 시스템 등이 모두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실험 중이며, 최대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어 장기 수용력이 입증됐다는 평이다. 솔라나는 빠른 거래 속도와 확장성을 기반으로 디파이, NFT, 밈 토큰 등 다층적 생태계를 구축, 최근 들어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거래량 증가로 투자 유입이 활발하다. XRP는 글로벌 금융기관과의 결제 통합 확대와 규제 불확실성 해소에 힘입어 시장 신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아발란체(Avalanche)는 서브넷 기술로 맞춤형 블록체인 구축을 지원하며, 사용자의 디파이 활동 증가로 경쟁력을 확보했다. 폴리곤(Polygon)은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으로 웹2-웹3 생태계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채택률이 높아질 전망이다. 반면 마가코인 파이낸스는 초기 밈코인의 화제성과 더불어 구조적 설계를 결합, 도지코인이나 시바이누의 성장 케이스를 넘볼 신생 프로젝트로 거론되고 있다. 일부 분석에 따르면 상장 확대로 2,300%까지의 최대 잠재 수익률도 언급되고 있어, 고위험·고보상 자산의 상징적 사례로 평가된다.
기관투자가들은 안정적 확장성과 규제 친화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더리움, 솔라나 등 인프라형 자산에 무게를 두는 한편, 개인 투자자들은 희소성과 밈 기반의 서사에서 매력을 찾아 신생 프로젝트로 유입되고 있다. 이 같은 복합 전략은 시장 회복력과 초과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파이낸셜타임스와 코인데스크 등 주요 매체는 “알트코인의 장기 성장동력과 투자 패턴 변화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이더리움, 솔라나 등 인프라형 코인이 시장 안정성을 이끄는 가운데, 투기성 신생 프로젝트는 변동성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신흥 알트코인과 대형 인프라 코인 간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기관과 개인의 이중 전략이 당분간 혼재될 전망이며, 글로벌 자본 흐름에 일정 수준 이상의 변동성을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변화가 디지털 자산질서의 재편으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