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태 억지력 강화 논의”…조현·루비오,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외교전 가속
한미 외교 현안과 정상회담 의제를 둘러싸고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워싱턴에서 정면 대화를 이어갔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22일, 양국 외교 수장이 만남을 갖고 안보·경제·기술 등 광범위한 의제 조율에 나섰다.
외교부는 23일 조 장관이 한국 시간으로 21일 미국 출장길에 올라 전날 밤 워싱턴DC에 도착했으며, 루비오 장관과의 회동에서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미래지향적 의제와 안보, 경제,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성과 사업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역사적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공적 개최 지원을 위해 미측의 각별한 노력을 요청했다.

루비오 장관도 한미 정상회담의 의미에 깊이 공감했다. 그는 “양측에 승리를 안겨주는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먼저 방문한 뒤 미국을 찾은 일정에 대해서는 “현명한 선택”이라고 평가하며, 한미일 3국 협력 강화 의지를 피력했다.
토미 피곳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공식 자료를 통해 두 장관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강화하고 집단 부담 분담을 확대하며, 한미동맹을 미래지향적으로 진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예산·안보 분담 확대와 미국 제조업 재활성화 등도 주요 의제로 꼽혔다. 이와 함께 “한미일 3국 협력의 중요성” 역시 강조 대상으로 떠올랐다.
이 같은 논의는 미국이 희망하는 동맹 현대화 구상과 맞닿아 있다.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확대, 중국 견제에 대한 한국 역할론이 본격적으로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상회담에서 어떤 결과로 구체화될지에 사실상 관심이 집중됐다.
양국은 북한 문제와 한반도 정세를 놓고도 긴밀한 입장 조율에 나섰다. 조 장관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 의지와 신뢰구축 노력을 설명했다”고 전하며, 양측은 대북 공조의 연속성 확인에 합의했다.
통상·경제 현안도 빠지지 않았다. 지난 7월 타결된 관세 합의에 대한 평가와 함께, 일부 미해결 사안이 아직 남아있음에도 양측은 통상 당국 간 후속 협의가 원만하게 좁혀질 수 있도록 협력의 필요성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는 앤드류 베이커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가안보부보좌관도 참석해 고위급 의사소통의 폭을 넓혔다.
같은 날 조현 장관은 백악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도 만나 “조속한 한미 관세 후속 협의 마무리,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노력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산업·에너지·교역 분야 협력과 무역 합의 등 한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은 미국에 방미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측과 추가 논의를 진행 중이다.
정치권은 한미 외교장관 워싱턴 회동이 정상회담에서의 합의 도출과 동맹 협력 심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미동맹의 미래 설계와 대외 전략 변화가 구체적으로 이어질지, 여론 역시 정부의 외교 전략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분위기다.
정부는 앞으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목표로, 대북 정책·경제 협력·인태 지역 안보 등 핵심 의제별로 양국과의 긴밀한 조율을 지속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