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로 국가 대전환”…배경훈 장관, 인프라·인재 육성 강조
IT/바이오

“AI로 국가 대전환”…배경훈 장관, 인프라·인재 육성 강조

김다영 기자
입력

AI 기술이 국가 미래 전략과 산업 전반의 구조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7일 취임사에서 인공지능(AI) 인프라와 인재 양성, 혁신 생태계 구축 등 AI 중심 정책을 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국가 AI 경쟁력 확보’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배 장관은 취임식에서 발표 방식부터 프레젠테이션 형식을 채택, 민간 기업식 소통 구조를 도입했다. 그는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정부 핵심 전략 아래, 세계 수준의 AI 인프라 구축과 전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슈퍼컴 6호기 등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를 조속히 확충하고, 디지털 네트워크와 보안 체계를 고도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기술적으로 배 장관은 대용량 파운데이션 모델 지원, 고품질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AI 반도체 산업 조기 육성 등을 언급하며 국내 연구자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릴 발판 마련을 약속했다. 실제로 기존 AI 인프라 대비 연산 성능·데이터 확보 수준을 대폭 개선해, 병목이었던 AI 모델 학습과 실증 속도를 한층 단축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AI를 ‘삶 전반에 적용될 범용 기술’로 정의하면서, 공공·산업·지역 모든 영역의 AI 활성화와 스타트업 스케일업 지원을 병행할 계획이다.

 

시장 측면에서는 AI 활용 확대가 첨단 제조, 헬스케어, 바이오, 반도체 등 다층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배 장관은 AI 반도체 분야의 조기 선점을 강조했으며, 혁신적 AI 스타트업을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는 성장 사다리도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AI 인프라와 창업지원, 데이터 거버넌스가 연계될 때 글로벌 수준의 AI 수요 대응력이 급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글로벌 경쟁 구도에서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대형 AI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반도체 생태계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배 장관이 밝힌 AI 컴퓨팅·데이터 통합 전략, 인력 양성 정책 등은 세계 시장과의 격차 해소 관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AI 하위법령 조기 제정과 국가 AI 위원회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 등 정책적 장치 마련도 병행된다.

 

정책·제도적 측면에서 배 장관은 안정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기초과학 중심 연구 생태계 복원을 강조했다. 예측 가능하고 충분한 R&D 지원,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개선 등 환경 변화를 예고했으며, 바이오·양자·2차전지·반도체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별 전략적 투자를 확대할 계획도 내놓았다. AI 윤리, 데이터 안전, 보안 기준 마련 등도 과제로 지목됐다.

 

배 장관은 “AI 과학기술 인재를 위한 생애주기 지원 시스템과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강화해, 국내 청년·연구자가 글로벌 수준에서 성장할 수 있게 한다”며 “AI 중심 대학 등 최고급 인재 양성 중심의 지원 체계도 조기에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민간 전문가와 지역의 참여 확대, 출연연 중심 조직혁신, 수평적 조직문화 확산 등 거버넌스 개편 방안도 제시됐다.

 

산업계는 배 장관 취임 이후 AI를 고리로 한 국가 혁신 과제가 실제 정책·생태계 혁신까지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발전 못지않게 산업 구조, 인재, 제도·윤리의 균형이 다음 단계 성장의 관건으로 보인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배경훈#국가ai생태계#ai인재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