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독립기념관장 해임 요구 확산”…이종찬 광복회장, 시민 1천600명 서명과 함께 감사원 감사 요청
정치

“독립기념관장 해임 요구 확산”…이종찬 광복회장, 시민 1천600명 서명과 함께 감사원 감사 요청

정유나 기자
입력

광복절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 지점에서 광복회와 독립기념관장이 격돌했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퇴진과 임명 과정 전반에 대한 감사를 요구하며 국가보훈부에 감사 요청서를 제출했다. 8월 19일 광복회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이 회장 측은 김 관장 해임을 공식 촉구했다.

 

이번 요청서에는 일반 시민 1천600명의 김형석 관장 사퇴 촉구 서명이 담겼다. 이종찬 회장은 요청서에서 “광복회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김 관장에 대한 해임을 촉구하면서 동시에 그가 관장에 뽑힌 일, 관장에 뽑히기 전후 대한민국 정체성을 흔든 일, 임명 후 추진한 잘못된 일 전반에 대해 감사해달라”고 밝혔다.

이종찬 회장은 또 독립기념관장 임명 과정의 절차적 문제도 강하게 지적했다. 그는 독립기념관장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행정법원에 제출한 상태라며, “조만간 추가 사유가 발생하면 가처분 신청을 더 진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형석 관장은 8월 15일 천안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에서 진행된 광복절 경축식 기념사에서 “우리나라의 광복을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의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고 말해 파장이 확산됐다. 이 발언을 두고 보훈 단체는 물론 정치권 일각에서도 “국가 정체성 훼손”이라며 강력한 반발이 잇달았다.

 

정치권에서는 보훈단체의 주장에 일부 의원들이 동조하는 가운데, 다른 한편에서는 해임 요구가 지나친 정치적 동기라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역사학계 일각에서는 김형석 관장의 발언 진의와 관련해 신중한 접근을 촉구하기도 했다.

 

국가보훈부는 감사요청서 접수 여부와 관련해 “관련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 시 소관 부처와 협의를 거칠 것”이라고 전했다. 국회 일부 관계자는 “광복절을 둘러싼 해석 논쟁이 정국 갈등의 도화선이 됐다”며 향후 논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치적 의미와 파급력에 시선이 집중되는 가운데, 향후 국가보훈부와 행정법원의 판단에 따라 광복회와 독립기념관, 그리고 정부 간 긴장 관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종찬#김형석#광복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