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만의 인준”…김민석, 이재명 정부 첫 총리로 본격 국정 드라이브
경제위기 극복과 개혁 과제를 둘러싼 정치권의 긴장이 최고조로 치솟았다. 이재명 대통령이 임명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준동의안이 7월 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새 정부 초대 내각이 마침내 본격 가동 채비에 돌입했다. 29일 만의 인준 통과로 김민석 신임 총리는 행정부 2인자에 오르게 됐다.
김민석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 6월 4일 지명된 뒤 역대 두 번째로 긴 대기 기간을 거쳐 ‘후보자’ 꼬리표를 뗐다. 초대 총리 인준까지 167일이 소요됐던 김종필 전 총리의 기록에 이어 역대 두 번째다. 반면 전임 윤석열 정부 당시 한덕수 전 총리는 정부 출범 10일 만에 인준을 받았고, 이낙연 전 총리는 21일 만에 국무총리 자리에 임명됐다.

정부 안팎에서는 인준 지연이 끝난 만큼 국정운영에 ‘속도전’이 펼쳐질 것이란 전망이 무게를 얻는다.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신명’(신이재명)계 핵심으로 꼽히며 국정 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경제회복, 국정과제 이행, 각종 개혁 추진에 단번에 박차를 가할 동력이 확보됐다는 분석이다.
인준 직후 김민석 총리는 “폭정세력이 만든 경제위기 극복이 제1 과제”라며 “대통령 참모장으로서 일찍 생각하고 먼저 챙기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의 방향을 바닥에서 풀어내고 여야를 넘어 의원들의 지혜를 국정에 접목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제 문제 해결과 함께 초당적 협치를 통한 국정추진 의지 역시 재확인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후보자 지명 당시 “풍부한 의정활동 경험과 민생 정책역량, 국제적 감각과 통합의 정치력을 갖춘 인사로 위기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을 이끌 적임자”라고 김 총리를 치켜세운 바 있다. 이 같은 국정운영 구상에 따라 기획재정부 분리 등 정부 부처 개편, 검찰 수사·기소 분리 등 검찰개혁,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제도정착 등 각종 개혁 의제도 가속이 예상된다.
그러나 정국 곳곳에 난제가 산적해 있다. 경제회복과 더불어 대미 통상 문제, 부동산 시장 불안, 추가경정예산안 집행 등 골칫거리가 잔존하는 데다, 새 내각 인선 역시 청문회 중복 진행이 불가피하다. 김민석 총리는 당분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들과 함께 정부를 운영해야 하는 불안정성도 안고 있다.
야당의 강력한 반발도 변수다. 국민의힘 등 주요 야당은 인준 표결에 불참하며 김 총리 임명을 끝까지 반대했다. 김 총리는 “인준되면 야당 원내대표 못지않게 야당 국회의원들과 적극 개별 소통하겠다”며 협치 의지를 피력했으나, 당분간은 여야 간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향후 10월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와 민생·경제 살리기를 병행하면서, 조직개편과 개혁 과제의 조기 안착에 고삐를 죄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국회는 새 총리 인준을 둘러싼 여야 간 정면 충돌 속에 새 정부 동력 확보와 협치의 ‘노동과제’를 동시에 안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