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3만5천장 2년 내 확보”…배경훈 과기장관, AI 인프라 확대 로드맵 밝혀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두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회가 맞붙었다. 정부의 대규모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 계획과 자체 AI 개발 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20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GPU 수급 목표, 전기요금 인상 우려, 사업 정보의 사전 제공 가능성 등 복수의 쟁점을 놓고 여야와 정부가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2년 내 AI 연산용 GPU 3만5천장 이상을 확보하겠다”며 구체적 수량 목표를 밝혔다. 또한 2030년까지 GPU 5만장을 확보하는 계획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배 장관은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은 한계가 있어, 초기에는 마중물을 신속히 마련하겠다”며 “민간에서 AI 시장이 자립적으로 성장하고 인프라 투자 환경이 조성될 수 있게끔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AI 데이터센터가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와 전기요금 인상안을 언급한 배경이 궁금하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배 장관은 “아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전력 문제를 직접 논의한 적은 없다”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 “AI 업계에서는 전기료 급등에 대한 걱정이 크다”며 “신재생 확대가 곧 비용 인상으로 연결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배 장관은 “원자력, 신재생 에너지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환경·가격을 포괄해 판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관련 주식을 국회 본회의장에서 거래했다는 의혹에 대해 무소속 이춘석 의원이 도마 위에 올랐다. 과기정통부는 “사실조사를 이미 진행했다”고 공식 답변했다.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은 “이 의원이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장 시절, 사업 결과를 미리 보고받았던 적 있느냐”고 물었다. 배 장관은 “국정기획위에 별도 보고 의무도 없었고, 결과를 사전 공유한 사실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업무 담당자 및 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사실관계 조사는 완료했다”며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인 만큼,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사업 주체 선정 외부 평가위원 명단은 비공개 방침이며, 정부 인사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회 과방위에서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와 공정성, 전력공급 대책을 둘러싼 정치권의 격돌이 이어졌다. 정부는 향후 전력수급과 민간 투자 촉진, 사업 정보 관리 강화를 함께 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