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익 중심 실용외교 강조”…김진아 외교부 2차관, 동아시아 파트너십 확대 시사
동아시아 역내 협력 방법론을 둘러싸고 각국 전략이 부딪히는 가운데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실용외교 원칙을 재확인했다. 김 차관은 국익 증진과 역내 안정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한미일, 한중일 등 주요 파트너국과 다양한 형태의 소다자 협력 체제를 천명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15일 웨스틴 조선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협력포럼’ 개회사에서 “국익에 부합하고 역내 안정에 기여하는 그 어떤 파트너국과도 양자든 삼자든 그 어떠한 형태로든 협력하는 데 열려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통적인 협력모델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포용적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대응할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한미일 3각 협력 및 한중일 대화를 예시로 들며 “우린 소다자주의 체제가 불확실한 시대에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걸 깨닫고 있다”고 진단했다. 즉,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에서 한 국가와의 일대일 협력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파트너십의 틀을 확장하는 것이 국익 실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 셈이다.
특히 김 차관은 동아시아 지역의 자연재해 위기를 거론하며 “국경을 넘어선 위협이 존재하기에 함께 기술에 기반한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한국이 동아시아 맞춤형 기후예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며, “여기서 생산된 데이터를 주변국과 공유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태풍과 호우 등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교부는 동아시아 협력을 위한 미래 어젠다를 발굴하기 위해 2022년부터 매년 해당 포럼을 개최해왔다. 이날 포럼에는 역내 전문가 등 300여 명이 참석해 디지털 전환, 재난 대응 등 실질적 협력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정치권에서는 소다자주의와 실용외교라는 외교부의 기조가 동아시아 역학구도 변화에 적절한 해법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국익 중심의 협력 강화 방안이 한미, 한중, 한일 등 주요국과의 관계설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향후 역내 긴장 국면과 맞물려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동아시아 맞춤형 기후예측시스템의 구체적 데이터 공유 방안을 비롯해, 역내 파트너십 협력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