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통합 망 화재 30개 복구”…우체국 예금·신분증 최우선 대응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디지털 서비스 중단 사태가 일부 복구 국면에 들어섰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오후 10시 기준, 중단된 674개 공공 서비스 가운데 30개가 우선 복구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우체국 인터넷 예금, 모바일 신분증 등 국민 생활과 경제 활동에 밀접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특히 인터넷 예금, 스마트 예금, 금융상품몰, 인터넷보험, 스마트보험 등 5개 우체국 금융 서비스가 정상화됐다.
행정안전부는 복구 우선순위로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시스템을 선정했으며, 각 시스템의 중요도를 반영한 등급제로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신분증, 노인 맞춤형 돌봄, 보건의료 빅데이터 등 분야도 포함돼 디지털 정부의 핵심 인프라 복구 본격화 신호탄이 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서버와 저장장치, 네트워크 등 물리 인프라 전반의 복구와 데이터 무결성 검증, 보안성 확보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화재로 인한 광범위한 서비스 장애 이후, 우체국 금융·디지털 신분증 등 국민 체감도가 높은 시스템을 빠르게 복구해 혼란과 불편 최소화를 우선한 조치다.
이번 사태는 디지털 행정망의 집중 구조와 백업 대응 체계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일본 등은 핵심 정부 서비스의 지역별 이중화 및 클라우드 기반의 신속 이관 대책을 도입해 있어, 국내 역시 서비스 복원력 향상을 위한 정책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복구 과정에서는 정보보호, 안정성, 업무 연속성 등 공공망 운영의 3대 원칙 준수가 과제로 꼽힌다. 행정안전부 윤호중 장관은 “국민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상황 투명 공개와 업무 연속성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남은 주요 서비스 복구와 함께, 국가 정보기반의 안전 대응 체계 보완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 인프라의 분산성 및 복원력, 서비스 등급별 비상 실행 계획 수립 등이 중장기 과제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어, 정부의 후속 대응이 산업 디지털 신뢰 생태계 구축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