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대통령실 수행실장 전격 조사”…한덕수 전 총리 출국금지 조치 유지
내란·외환 의혹 수사 선상에서 내란 특별검사팀과 전·현직 고위 인사 간 충돌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와 국무위원들까지 소환되며, 수사는 한층 정치적 긴장감 속에 확산되는 분위기다. 주요 인사 신분과 조치 여부도 논란에 기름을 붓고 있다.
내란 특별검사팀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2일 브리핑을 통해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을 현재 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실장은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로 국무위원 명단을 작성해 부속실장에게 전달한 인물로 꼽힌다. 해당 명단에는 최상목, 송미령, 조규홍, 오영주, 박상우, 안덕근 등 주요 인사의 이름이 포함돼 있다.

김 전 실장은 줄곧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수사관으로 활동하며 윤 전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온 이력이 있다. 이후 검찰을 떠나 대통령실로 자리를 옮긴 점이 이번 특검 조사에서 주요 쟁점으로 평가된다. 박 특검보는 이에 대해 “김 전 실장은 검찰 수사관 출신이며 윤 전 대통령과 인연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특검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까지 소환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박 특검보는 “구체적인 조사 내용과 신분은 밝힐 수 없지만, 국무위원의 권한·의무·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덕수 전 총리에 대해서는 출국금지 조치가 유지되고 있다. 현재 경찰 수사 단계에서 내려진 출국금지 명령이, 특검팀의 별도 조치를 통해 그대로 연장된 상황이다. 박 특검보는 “수사기관이 변경돼도 큰 사정 변경이 없으면 기존 출국금지 조치가 유지된다”고 거듭 확인했다.
아울러 특검팀은 최근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추가 기소와 함께 법원에 구속영장 발부도 요청한 상태다. 박 특검보는 “구속기간 만기가 7월 9일로 예상돼 관련 신문이 그 전에 잡힐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검 수사가 국무회의 당시 대통령실과 전현직 국무위원 대부분을 포괄하면서, 정치권은 내란과 외환 의혹의 실체 규명을 둘러싼 진실공방에 더욱 치열하게 맞서고 있다. 향후 특검팀의 추가 소환과 법적 판단 절차가 정국에 적잖은 파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