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장 인사 장기 공백”…부산, 정부 조직개편 지연 여파에 후속 차질
공공기관장 인사를 둘러싼 혼란이 부산 지역에서 표면화되고 있다. 정부의 조직 개편이 늦어지면서 주요 공공기관의 대표와 임원직 공백이 해소되지 않아, 지역 정치권과 산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부 내 후속 인사까지 줄줄이 밀리면서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28일 부산지역 업계에 따르면,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지난해 11월 초로 3년 임기가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후임 인사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지난해 말 임원추천위원회가 꾸려져 후임 후보자 공모가 추진됐으나, 이후 비상계엄 사태를 겪으면서 모든 절차가 표류한 상태다. 박주선 기술보증기금 전무이사의 임기도 올해 3월 만료됐지만, 역시 후임 선임이 이뤄지지 않았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유병태 HUG 사장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2년 연속 ‘미흡(D)’ 등급을 받으며, 취임 2년 만인 지난 6월 사의를 표명하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후임 인선은 3개월째 공석인 데다 임원추천위원회조차 구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같은 인사 지연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부산의 주요 공공기관 전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관은 후속 인사 절차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내홍이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부산의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중앙 부처 조직개편과 후속 인사가 미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산하 공공기관 인사까지 여력이 부족하다”며 “올해 정기국회 국정감사가 끝나야 공공기관장 인사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전했다. 그는 반복되는 공석 사태가 기관의 주요정책 추진과 대외 신뢰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부의 조직개편이 일정대로 마무리되고, 국정감사 이후 후임자 인선작업이 속도를 내야 안정적 행정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기관장 인선이 장기화될 경우 부산지역 경제 및 정책집행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정기국회 일정을 계기로 후속 인선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