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부터 월패드까지”…29억 IoT 기기 보안, ‘생활 속 위협’ 경고
로봇청소기, 월패드 등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확산과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보안 위협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해킹·사생활 침해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보안 기준 강화와 사후관리 체계 확충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2021년 700여 아파트 단지에서 월패드 해킹을 통한 영상 유출이, 지난해에는 중국산 로봇청소기에서 욕설 음성 송출 등 해킹 의혹 사례가 연달아 발생했다. IP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에 대한 정보 유출 문제도 이어지면서 일반 가정과 사무공간 내 보안의 허점이 드러났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한국 내 IoT 기기 보유 대수는 약 29억 개(세계 4위)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글로벌 시장도 2028년까지 2조2270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의 보안이 과거 전문가·기업의 문제를 넘어 국민 실생활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2022년 ‘IoT 보안인증’ 제도를 법제화한 뒤, 올해 5월까지 439건의 인증을 완료했다. 삼성전자 로봇청소기는 최고 등급인 ‘스탠다드’ 인증을 획득했다. 또, 파생모델 인증 도입과 소비자용 보안인증 라벨 확산 등으로 제조사와 소비자 모두의 부담과 불안을 줄이는 정책도 병행되고 있다.
오는 하반기부터는 제품 출시부터 폐기, 사후 관리까지 전 주기를 포괄하는 인증 제도가 도입된다. 특히 월패드 등 주택용 영상 기기에 대한 보안인증 확대 계획도 추진된다. 정부는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보안 기준과 국내 정책의 연계성, 해킹 사고 시 대응 체계 점검 등 전반적 안전망 구축을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생활 밀착형 IoT 기기의 해킹은 사생활 침해와 범죄 악용까지 우려된다”며 제도의 지속적 보완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부와 KISA는 향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보안 수준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와 같이 IoT 기기 보안 강화는 일시적 대응이 아니라, 초연결 사회의 기반을 마련하는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