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T 구조조정 후 잇단 사망”…특별근로감독 촉구 확산
IT/바이오

“KT 구조조정 후 잇단 사망”…특별근로감독 촉구 확산

윤가은 기자
입력

KT 노동자 연쇄 사망이라는 비극적 사건이 IT 산업 근로환경의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연이은 사망사건의 배경에는 지난해 KT의 대규모 구조조정과 강압적 인사전환이 자리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번 사안을 개인의 불행이 아닌, 조직 구조와 산업문화에서 비롯된 참사”로 규정하며 정부에 즉각적인 특별근로감독과 근본적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KT는 2023년 10월 기술직 직원 2500여명을 포함한 5800명 규모의 희망퇴직과 전출을 시행했으며, 남은 기술직 인력 대다수를 ‘토탈영업TF’로 재배치했다. 익숙지 않은 영업업무에 투입된 노동자 상당수가 극도의 직무스트레스와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책연구소 이음의 실태조사 결과, 영업직군 노동자 중 74.5%는 심각한 고용불안을, 62.7%는 우울증을, 88.1%는 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2%의 직원이 업무 적합성에 문제를 호소했고, 94.4%는 장기적인 고용 불안감을 털어놨다.

TF 내부 현장에서는 원거리 발령 협박, PC로그 감시, 주말·퇴근 후 실적 압박, 저성과자 차별 등 강도 높은 관리와 통제 사례도 드러났다. 시민사회는 “KT 구조조정이 적극적 인력 전환을 넘어 조직 내부 압박과 심리적 위험을 확산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요 단체들은 정부에 ▲특별근로감독 즉시 실시 및 책임자 처벌 ▲KT 경영진 문책 ▲토탈영업TF 해체 및 차별적 인사정책 철회 ▲정신건강 지원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IT·통신 산업의 빠른 변화 속 기업문화와 근로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장 전문가들은 ‘산업 경쟁력의 핵심은 기술력뿐 아니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근로환경 확보’라고 강조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사태가 정책과 제도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kt#구조조정#특별근로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