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우 사이코패스 폭주”…‘메스를 든 사냥꾼’ 부녀 파국→광기 묻은 집착 어느 선까지
맨손에 쥔 칼이 고요한 공기를 가르고, 은은한 미소 뒤에 감춰진 광기가 서늘히 번졌다. ‘메스를 든 사냥꾼’ 속 박용우는 윤조균이라는 이름 아래 온유한 아버지와 잔혹한 범죄자라는 이중적인 얼굴 사이를 끊임없이 오갔다. 거친 숨소리와 눈빛, 그리고 세탁물을 쥔 손끝까지, 박용우는 부드러운 온기와 섬뜩한 살기를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시청자를 극단의 긴장감으로 몰고 갔다.
박주현과의 대치 장면에서는 부녀 간의 애정이라는 상식적인 감정이 사라지고, 날카롭고 불길한 에너지가 음산하게 맴돌았다. 딸을 향한 윤조균의 비정상적인 집착은 사랑을 가장해 범죄로 변질됐고, 이를 막으려는 박주현의 단단한 눈빛이 팽팽히 맞부딪쳤다. 특히 “말을 안 듣네, 응? 그러면 벌을 받아야지”라는 말과 함께 손목을 거칠게 쥔 순간, 평범한 가족을 상상하던 시청자에게 긴장과 충격이 차오르는 점이 돋보였다.

범죄 현장에서 촘촘히 짜인 액션과 감정의 곡선은 미드폼 드라마 특유의 속도감과 밀도를 선사했다. 박용우는 결정적인 살인의 순간 아무렇지 않은 얼굴로 칼을 들어 올렸고, 세탁물로 목을 조르는 압도적 장면, 폭력적 본능을 절제 없이 분출하는 순간마저 치밀한 내면 묘사로 완성시켰다. 이 모든 과정은 아버지이자 괴물인 윤조균의 모순된 세계를 단숨에 가시화했다.
이야기는 미제 사건, ‘재단사 살인사건’을 연결하는 미스터리와 함께 예측 불가의 반전의 고리를 풀어나가고 있다. 박용우는 왜곡된 정의감과 조작된 흔적으로 조여 오는 긴장, 그리고 딸에 대한 멈추지 않는 욕망 사이에서 매 장면 내면의 균열을 드러냈다. 박주현도 이에 맞서 흔들림 없는 태도로 극의 긴박함을 배가시켰다.
섬뜩하면서도 슬픈, 집착과 증오가 교차하는 부녀의 서사는 마지막까지 서늘한 여운을 남긴다. 무엇보다 박용우의 망설임 없는 폭주는 스크린 너머 관객의 감정마저 사로잡았고, 박주현과의 대립은 지독한 불협화음처럼 한동안 마음 깊은 곳에 파장을 일으켰다. 매주 월, 화, 수, 목 U+tv, U+모바일tv,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공개되는 ‘메스를 든 사냥꾼’에서 앞으로 펼쳐질 두 사람의 대결이 어떤 결말과 파문을 남길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