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다 잡아들여’ 지시 후 비화폰 삭제 정황”…내란특검, 조태용 전 국정원장 압수수색 돌입
내란 의혹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정점에 달한 가운데, 16일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에 대한 강제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증거 인멸 정황이 포착된 가운데 윤석열 전 대통령과 조 전 원장 간 통화 기록에 대한 압수도 단행되며 정치권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16일 오전 브리핑에서 “금일 오전 7시부터 내란 사건 후 증거 인멸과 관련해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주거지를 포함한 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조 전 원장뿐 아니라 박종준 전 대통령실 경호처장의 자택도 포함됐다. 압수 대상 확대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폭로 이후 급물살을 탄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원장과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홍장원 전 차장 등 핵심 관계자는 지난 12월 6일 계엄 사태 사흘 후 비화폰이 원격 로그아웃되는 정황에 깊이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다. 비화폰의 원격 로그아웃은 통신내역 삭제 등 기기 초기화와 직결되며, ‘보안 조치’라 불리지만 증거 인멸 시도 의혹이 일고 있다.
특히 12월 6일은 홍장원 전 차장이 국회 정보위원회 면담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직접 지시했다”고 공개한 날과 맞물린다. 당시 홍 전 차장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기록이 남아 있는 비화폰 화면을 공개하며, 계엄 선포 직전후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을 증언한 바 있다.
이후 국정원은 해당 비화폰에 ‘보안 조치’를 해야 한다고 대통령실 경호처에 의견을 전달했고, 곧바로 로그아웃 등 삭제 절차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검팀은 조 전 원장이 비화폰 통화 기록 삭제 직전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통화한 정황을 포착하면서, 수사 범위를 당시 지휘라인 전반으로 넓힌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해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홍장원 전 차장의 폭로 이후 조 전 원장에게 증거 인멸을 직접 지시했을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실제 12월 6일 윤 전 대통령과 조 전 원장 간 수차례 통화 기록을 확보했으며, 내용 면밀 분석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 역시 같은 날 홍 전 차장, 조 전 원장과 만난 후 “조 전 원장이 12월 5일과 6일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전했다”고 밝혀 통화 내역 추가 공개 가능성도 열려 있다.
특검팀은 이날 강제수사로 압수한 자료를 근거로 조 전 원장을 불러 비화폰 삭제의 구체적 배경과 윤 전 대통령의 개입 여부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조 전 원장은 이미 이명현 순직해병 특검팀으로부터도 압수수색을 받은 전례가 있어, 두 특검 간 압수 자료 이관도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별검사팀은 또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가족과 변호인을 제외한 모든 접견을 금지하도록 서울구치소에 지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이 이날 ‘부정선거 논란’으로 주목받고 있던 모스 탄 미국 리버티대 교수와 진행할 예정이던 구치소 접견이 무산됐다.
정치권은 내란 및 계엄 사태 관련 증거 인멸 의혹을 둘러싸고 각 진영 간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검팀은 추가 소환 및 핵심 인물 조사 일정을 예고하지 않고 있으나, 확보된 통화 기록과 디지털 자료를 토대로 조 전 원장 등 관계자 조사를 조만간 추진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