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거래소 늑장심리 또 도마 위”…김건희 특검, 금융당국 윗선 조사 주목
김건희 여사 관련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둘러싼 수사가 정치권과 금융당국 간 책임 공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의 늑장 심리·조사 경위까지 겨눌지 관심이 집중된다.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을 두고 여야가 맞서면서, 금융당국 윗선 개입 여부에 대한 조사 필요성도 다시 부상했다.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실은 7월 6일 “내주 중 삼부토건 주가조작과 관련해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 의혹, 국회에서 제기된 자료와 정황을 정리한 의견서를 특검에 공식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원실은 “금감원이 즉각 수사기관이나 금융위원회로 사건을 이첩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금융당국의 책임을 거듭 강조했다.

사건의 핵심은 2023년 5∼6월 삼부토건 전·현직 경영진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착수처럼 투자자를 오도해 주가를 부풀린 뒤 주식을 매도,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다. 주가는 당시 1천원대에서 두 달 만에 5천500원까지 급등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핵심 인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기록 등이 소환되며, 김건희 여사 연루설에도 불이 붙었다.
그러나 이상거래 감지는 더뎠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한국거래소는 의심 정황이 포착된 지 1년이 지나서야 심리에 착수했고, 금융감독원도 두 달 후 조사에 나섰으나 결과 보고까지 반년 이상이 소요됐다. 올해 3월에는 더불어민주당 정무위원들이 사건 이첩 지연을 문제 삼으며 금융당국을 잇따라 항의 방문했다. 이와 별개로 검찰 고발 역시 사주 일가에 국한됐고, 이번 사건 발단의 당사자인 이 전 대표와 김건희 여사는 빠졌다.
민중기 특검팀은 압수수색에 이어 우크라이나 사업을 담당했던 이응근 전 대표이사를 조사하며 본격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 특검에는 금융감독원 출신 조사관들도 참여해 금융당국 내 심리·조사 지연 배경, 윗선의 무마 또는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를 다각도로 들여다보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책임 소재가 명확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야는 특검 수사의 경과와 금융당국 고위층 개입 여부, 김건희 여사 소환 시점 등을 두고 긴장감을 드러내는 분위기다. 게다가 금융감독기관에 대한 제도 개선 요구도 재점화하고 있다.
특검팀은 “수사 상황, 자료 분석을 종합해 김건희 여사 등 핵심 인물 소환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회와 정치권은 특검의 수사 확대와 금융당국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치열한 공방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