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부 구매 완전 온라인 의무화”…방글라데시, 부패차단 개혁에 시장 변동 주목

장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10월 2일, 방글라데시(Bangladesh) 정부는 연간 300억 달러(약 42조 원) 규모에 달하는 모든 정부 구매를 전자정부구매 시스템(e-GP)으로 전면 의무화하는 새로운 개정 ‘공공구매규칙(PPR)’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최근 정권 교체 후 부정부패 척결과 경제 시스템 개혁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온 방글라데시 정부가 정부 지출의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를 위해 마련한 대대적 변화다.

 

개정 규칙에 따르면 기존에는 종이 문서 또는 오프라인 입찰이 허용되던 소규모 구매까지 모두 e-GP 플랫폼을 사용해야만 하며, 과거 65% 내외에 그쳤던 온라인 집행율도 전면적으로 100%에 가까워질 전망이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이를 통해 구매 절차별 책임을 명확하게 하고, 내부 통제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방글라데시 연간 42조 원 정부구매, 온라인 의무화…가격상한제 폐지
방글라데시 연간 42조 원 정부구매, 온라인 의무화…가격상한제 폐지

특히 이번 개정에서 가격상한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됐다. 이전에는 추정 구매액의 ±10% 이내에서만 입찰이 가능해 시장가격 왜곡과 조작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현지 경제연구소 Sanem의 셀림 라이한 대표는 “입찰 가격 제한 폐지와 e-GP 의무화가 장기간 이어져온 조작 및 정치적 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방글라데시 공공구매공사 CEO SM 모인 우딘은 “새 규칙은 지속가능성, 디지털화, 국제 관행 수용을 총망라한 포괄적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2011년 도입된 e-GP 시스템은 그간 제한적으로만 활용돼 왔으나, 이번 개정으로 모든 정부 상품 및 서비스 구매가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된다.

 

이 같은 조치는 국제사회와 투자자들에게도 방글라데시 경제의 신뢰도 제고 및 정책 리스크 완화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과도정부가 차기 총선을 준비하며 사기와 부패 근절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현지 언론과 전문가들은 행정 효율화가 투자환경 개선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본다.

 

미국(USA), 영국(UK) 등 주요 외신은 “구매 투명성 강화를 통해 방글라데시가 지역 내 투자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시장 신뢰와 예산 집행의 효율성 증대가 실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방글라데시의 온라인 조달 시스템 확대와 행정 간소화 움직임이 향후 국내외 투자 유치 환경에 중대한 변수로 부상할 것”이라며, 관련 정책 이행을 면밀히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국제사회는 이번 개정 규칙의 실질적 안착과 각종 부패 개혁 정책의 성과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방글라데시#e-gp#공공구매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