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中, 전승절에 이재명 참석 요청”…대통령실, 외교적 고심 속 한중 소통 강조
정치

“中, 전승절에 이재명 참석 요청”…대통령실, 외교적 고심 속 한중 소통 강조

김소연 기자
입력

중국이 9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대회’, 이른바 전승절 기념식에 이재명 대통령의 참석 의사를 한국 정부에 타진하며 외교적 긴장감이 높아졌다. 대통령실은 한중 양국이 해당 사안에 대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미중 전략경쟁 국면을 감안해 신중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2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외교 채널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가능성을 문의했다. 중국은 오는 9월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는 열병식을 포함, 전승절 80주년 행사를 대규모로 추진 중이다. 사회주의권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 등 서방국 정상들까지 초청해 정상급 외교전에 나선 모양새다. 실제로 일본 교도통신은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초청했다는 보도를 내놓은 바 있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중국 9·3 전승절 80주년 기념식 참석 여부에 대해 한중 간 소통을 하는 중”이라며 “외교채널에서 이뤄지는 소통의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는 점을 양해해달라”고 공식 입장을 전했다. 이어 “한중 양국은 APEC을 매개 삼아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는 공감을 토대로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5년 중국 전승절 행사에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방 정상 중 유일하게 참석했던 전례와 한미동맹, 현 한중관계, 그리고 미중 갈등 상황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여러 제반 상황을 봐서 검토해야 한다”며 “고려해야 할 게 많다”고 말했다.

 

정치권과 외교가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참석 여부가 한미동맹과 한중관계 모두에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사안이라고 보고 있다. 대통령실이 실용외교 노선을 표방하는 한편, 한미동맹의 균열이나 외교적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아울러 10월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참석과 연계해 이 대통령의 방중이 성사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만약 이 대통령이 전승절 참석을 통해 시 주석의 APEC 정상회의 참석을 견인한다면, 외교적 명분이 강화되며 부담이 일부 완화된다는 분석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5년 참석 후 북한의 잇단 핵도발과 사드(THAAD) 배치 등 한중관계 악화가 이어졌던 경험도 중대 고려 요소로 꼽힌다. 정부는 최근 미중 전략경쟁 심화 속에서 미국의 불편한 시선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참석 가능성도 함께 주목받고 있으나,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현실화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각종 변수와 국제정세, 과거의 경험을 교차 분석하며 참석 여부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문제가 한중관계와 한미동맹, 나아가 국내외 정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향후 외교행보의 향방에 비상한 관심을 쏟고 있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중국#전승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