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6월 민간 고용 3만3천명 감소”…관세 정책 여파에 고용시장 흔들
국제

“미국 6월 민간 고용 3만3천명 감소”…관세 정책 여파에 고용시장 흔들

전민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7월 2일, 미국(USA)의 6월 민간 고용이 3만3천명 줄어들며 2년 3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번 변화는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기업들의 고용 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신규 고용 조정은 미국 경제 전반에 그대로 반영되며, 시장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미국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2일, 6월 민간기업 고용이 전월 대비 3만3천명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3월 이후 처음으로 월간 기준 고용이 줄어든 것이다. 전문가들은 당초 10만명 증가를 예상(다우존스 집계 기준)했지만, 실제 수치는 크게 뒤처지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특히 서비스업 부문 중 전문·사업서비스(-5만6천명)와 교육·의료서비스(-5만2천명) 등에서 두드러진 어닝 쇼크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서비스업 고용이 6만6천명 줄며 민간고용 감소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美 6월 ADP 민간 고용 3만3천명 감소…2년 3개월 만에 감소 전환
美 6월 ADP 민간 고용 3만3천명 감소…2년 3개월 만에 감소 전환

이 같은 흐름의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단행한 관세 정책과 그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이 자리 잡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용시장 위축의 직접적인 계기로 관세 인상과 생산 비용 부담을 꼽았다. ADP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넬라 리처드슨은 “사업주들이 신규 고용과 퇴직 인력의 대체 채용에 모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가 지난달 고용 손실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이런 미국의 고용 둔화는 글로벌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격적인 고용시장 약세가 고착될 경우, 1970년대형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제기된다. 시장 참여자들은 3일 발표 예정인 노동부의 공식 고용보고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비농업 부문의 고용은 11만명 증가가 예상되지만, 추세 전환 신호가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들도 “고용시장 불안이 파급력을 키우면 미 연준(Fed) 통화정책과 금융시장 전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미국 관세·무역정책의 불확실성과 고용시장 변화가 주식, 환율 등 국제 금융시장에 어떤 파장을 낳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고용감소 신호로 이어질 경우, 장기적 경기 둔화와 금융시장 변동성이 한동안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제사회 역시 하반기 미국 노동지표와 정책 불확실성의 흐름을 주시하고 있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트럼프#a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