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 야당 불참 속 인준”…김민석, 첫 이재명 내각 총리로 출범
여야 극한 대치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제1야당 국민의힘이 역사상 처음으로 총리 인준 표결에 불참하는 초유의 상황에서, 범여권의 힘으로 이재명 정부 첫 내각의 문이 열렸다.
3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상정됐다. 재석 의원 179명 가운데 찬성 173명, 반대 3명, 무효 3명으로 인준안이 가결됐다. 국민의힘은 “부적격 인사 강행”을 이유로 집단 불참했고,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이 인준을 주도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새 정부 출범 한 달이 지났음에도 총리 임기 시작이 미뤄진 초유의 상황”이라며 “국정 공백과 국민 혼란 방지가 임명 동의안 상정 이유”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본회의장 밖에서 규탄 피켓을 들며 “민주주의에 대한 조롱”이라고 강조했다.
표결 직후 김민석 신임 총리는 “국민의 뜻을 하늘같이 받들고 대통령님의 방향을 바닥에서 풀어내겠다”며 “폭정 세력이 남긴 경제위기 극복이 제1과제”라고 밝혔다. 동시에 “참모장으로서 일찍 생각하고 먼저 책임지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여야 논쟁도 거세다.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 불참을 “국가적 위기에서 책임정치가 실종됐다”라 비판했다. 여당은 합의 중심이었던 과거 총리 인준과 달리 이번엔 야당의 집단 거부가 이뤄진 점을 부각하며, 신속한 국정 정상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야당 배제에 의한 국정 독주이자 국민 무시의 독단”이라며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냈다.
인사검증 단계에서는 국민의힘의 자진사퇴 촉구, 강경 시위와 함께 부적격 논란이 이어졌으나, 범여권은 “경제 재건을 위한 신속 파격 인선”을 앞세워 표결 강행에 힘을 실었다. 청문회에서도 정책 비전과 경제 위기 대응책에 대한 공방이 이어졌으며, 청문 과정의 장기화에 따른 국민 피로도 지적도 나왔다.
김민석 후보자의 총리 지명은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에 의해 이뤄진 이후 29일 만에 공식 인준 절차를 밟았다. 이제 김민석 총리는 경제 회복, 민생안정, 그리고 여야 협치라는 중대한 과업을 앞두게 됐다.
정치권은 김 총리 체제 출범이 정국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회는 향후 추가 인준안과 정부조직 개편 논의에서 또 한 차례 치열한 공방을 벌일 전망이다.
